오염된 속옷을 입으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제대로 된 관리법이 주목받고 있다.전문가들은 우리가 매일 입는 속옷은 생각보다 깨끗하지 않다고 조언한다. 미국 뉴욕대 미생물·병리학과 필립 티에르노 교수는 2018년 허프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속옷은 아무리 깨끗이 빨아도 세균이 남을 수 있다"고 말했고, 애리조나대 미생물학과 찰스 게르바 교수는 2010년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세탁기에 돌린 팬티에서도 한 벌당 약 0.1g의 대변이 검출된다"고 했다.또한 세탁한 속옷에 대장균이나 황색포도상구균 등 세균이 남는 경우가 있으며, 이 세균이 다른 속옷으로 옮겨갈 수도 있고, 아무리 깨끗하게 속옷을 빨래해 건조해도 100% 멸균되지는 않는다고 전했다.속옷을 깨끗이 세탁해도 남는 세균은 보통의 면역으로 막을 수 있는 수준이지만, 청결에 소홀할 경우 감염 위험이 있다. 또한 세탁하지 않은 속옷은 생식기 부근에 가려움을 일으키고, 냄새를 유발한다. 속옷에 소변이 묻으면 피부의 습도가 올라가고, 탈락한 피부조직이 속옷에 축적되면 분해되거나 산화된다.팬티를 찬물에 세탁하거나, 제대로 말리지 않은 채 착용한 경우, 같은 팬티를 며칠씩 갈아입지 않을 경우 요로감염, 곰팡이균 번식으로 인한 질염 등이 유발된다. 속옷과 접촉하는 사타구니 등에 피부병을 일으키기도 한다.팬티의 교체 주기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적어도 하루에 한 번 갈아입는 게 이상적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여성의 경우 분비물이 많이 나오는 등 팬티가 오염된 상황이라면 하루가 지나지 않더라도 새 옷으로 갈아입어야 한다.속옷의 교체 주기는 6개월로 알려졌지만, 의학적으로 정해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해병대 독립과 '준 4군 체제' 개편 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고 2일 강조했다. 이 대표의 지난 대선 후보 당시 공약으로, 해병대를 사실상 해군에서 독립시켜 육·해·공 '3군 체제'를 '준 4군 체제'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이 대표는 이날 SNS에 "해병대를 강화하는 세계적 추세에 발맞춰 해병대 전력과 독립성을 대폭 강화하고 상륙작전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이 대표는 "튼튼한 국방과 안보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구체적인 방법론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해병대 독립'은 지난 대선 여야 공통 공약이기도 했던 만큼 국민의힘도 흔쾌히 동의할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그는 "살을 에는 추위 속에서도 늠름하게 나라를 지키는 장병들의 헌신이 있기에 대한민국이 안전하다"며 "국가를 위한 여러분의 숭고한 희생이 더욱 빛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이 대표는 이날 대통령 경호처장 공관을 해병대 공관으로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펼쳤다. 그는 "한남동 공관촌은 해병대의 자랑스러운 역사가 오롯이 담겨 있는 장소"라며 "12.12 군사 반란 때는 해병대 공관 경비대가 목숨 걸고 반란 세력에 맞서 싸웠다"고 했다.이어 "이런 장소가 내란 세력의 ‘무법지대’로 전락한 현실이 해병대원 입장에서 얼마나 비통하겠나"라며 "경호처장 공관을 원래 주인인 해병대공관으로 복원하는 것은 역사를 존중하고 자부심을 되찾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
법원 안팎에서 판사들을 향한 조직적 위협과 음모론이 확산되면서 사법부 독립성 침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둔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의 소셜네트워크(SNS) 활동이 도마 위에 오른 데 이어, 형사재판을 맡은 판사의 출신 지역과 이름까지 거론되며 근거 없는 의혹이 쏟아지고 있다.2일 법조계에 따르면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전날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정계선·이미선 재판관 등 3인에 대해 회피 촉구 의견서를 제출했다. 변호인단은 "문 권한대행이 SNS에서 민주당 인사들과 교류했고 특정 유튜버를 팔로우했다"며 공정성 문제를 제기했다. 변호인단이 지목한 유튜버는 '김어준 저장소'다. 변호인단은 정 재판관에 대해서는 "배우자가 탄핵 촉구 시국 선언에 이름을 올렸으며, 배우자가 근무하는 단체의 이사장이 소추인 측 대리인으로 나섰음에도 심리에 계속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재판관에 대해서는 "친동생이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의 '윤석열 퇴진 특별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배우자는 이재명 대표와의 재판거래 의혹 및 대장동 50억 클럽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권순일 전 대법관과 같은 법무법인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문제 삼았다.지지자들 통한 '재판부 압박'도 도를 넘었다. 내란 사건을 맡게 된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 지귀연 부장판사(51·사법연수원 31기)를 겨냥해 일부 유튜버들은 "이름부터 수상하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53만 구독자를 보유한 한 유튜버는 "우리 한성진이 30기잖아요. 신진우 부장이 32기고, (지 부장판사는) 그 사이 31기니까 기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