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진흥청은 오는 92년말까지로 예정돼 있는 EC시장 통합에 따라
유럽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유럽규격(EN) 제정 움직임이 새로운 기술
장벽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조사단 파견및 규격전문 주재관의
현지파견등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 공업규격 조사단 / 전문가 파견등 검토 ***
11일 공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현재 4,000여종의 대상품목중 이미
885종에 대한 유럽단일규격이 이미 제정되었는데 이같은 유럽 각국의 단일
규격 통일이 우리나라의 대EC 수출상품의 생산비용이 절감될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안전기준이나 위생기준등을 상향조정함으로써
우리나라 상품의 대EC 시장진출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유럽국가들이 단일규격 사용에 따른 규모의 경제를 실현, 보다 저렴한
가격의 유럽제품들이 국내시장에 진출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 일본과 공동대처방안 마련도 추진 ***
공진청은 이에따라 EC주재 상무관및 무공 해외지사등을 통해 관련정보
수집활동등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공진청, 한국공업표준협회, 무공및 기타
참여 희망기관으로 구성되는 조사단을 오는 2월 브뤼셀에 파견, 현지에서
열리는 EC표준화정책세미나에 참석시키고 유럽규격 제정을 주도하고 있는
유럽표준화위원회(CEN)와 유럽전기기술표준위원회(CENELEC)및 EC집행위원회를
방문, 각종 관련자료를 입수케 할 계획이다.
공진청은 이와 아울러 한-일정례표준회의를 통해 양국간 공동대처방안을
강구하는등 태평양지역 국가간의 협력도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공진청은 지난해 12월 초 국내 각업체및 기관들로 구성돼 발족한
유럽규격보교류협의회를 최대한 활용, 보다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정보입수
체계를 구축하고 이들 정보의 신속한 국내업게 전파를 위해 설명회등을 통한
국내 홍보활동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