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불량, 부실재고 최대원인...생산성본부, 308개사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기업의 부실재고발생은 작업불량, 설계 변경, 수주취소등이
주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생산성본부(KPC)가 종업원 50인 이상인 제조업체 34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89국내제조업의 공정관리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자금의 고정화로 재고비용을 증대시키는 부실재고의 발생원인은
작업불량이 전체의 46.3%를 차지해 가장높게 나타났으며 설계변경
(26%)/수주취소(21.3%)/제품단종(20.6%)/과잉확보(15.7%)등도
비교적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다.
*** 처리방법 폐기으뜸...대책시급 ***
특히 작업불량에 의한 부실재고발생 비중이 이처럼 높게 나타난것은
작업자와 기계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된 것으로 보여 이에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재고발생을 제품생산형태별로 보면 조립생산의 경우 설계변경(39.8%)과
작업불량(32%)이, 장치생산은 작업불량(44.8%)및 시한 경과변질(22.4%),
가공생산은 작업불량(54.7$)/설계변경및 수주취소(각 23.9%)등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와함께 기업들의 부실재고 처리발생은 폐기가 가장 많은 전체의 38.3%
나치지, 상당부분이 그냥 버려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외에 타제품전용(30.3%)이나 개조사용(25.9%)및 매각(23.4%)등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를 생산형태별로 분석해보면 가공생산을 제외한 조립생산, 장치생산
모두 폐기가 가장 높게 나타나 부실재고의 처리방법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재공재고(원/부자재가 공정에 투입되어 완제품으로 창고에 입고
전까지 제조현장에 놓여있는 물건/반제품제외)역시 기업에 큰부담이
되고있는데 그 발생원인은 다품종추세를 반영, 품종교체빈번(35%)이
가장높게 나타났으며 공정간 능력불균형(29.7%), 불량품다발(14.7%),
일정계획오류(12.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결과 제조공정에 영향을 주는 설비/작업자/자재/
품질/공정관리등 5가지 요인중 기업규모/생산형태에 관계없이 제조공정
관리체계(40.5%)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주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생산성본부(KPC)가 종업원 50인 이상인 제조업체 34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89국내제조업의 공정관리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자금의 고정화로 재고비용을 증대시키는 부실재고의 발생원인은
작업불량이 전체의 46.3%를 차지해 가장높게 나타났으며 설계변경
(26%)/수주취소(21.3%)/제품단종(20.6%)/과잉확보(15.7%)등도
비교적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다.
*** 처리방법 폐기으뜸...대책시급 ***
특히 작업불량에 의한 부실재고발생 비중이 이처럼 높게 나타난것은
작업자와 기계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된 것으로 보여 이에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재고발생을 제품생산형태별로 보면 조립생산의 경우 설계변경(39.8%)과
작업불량(32%)이, 장치생산은 작업불량(44.8%)및 시한 경과변질(22.4%),
가공생산은 작업불량(54.7$)/설계변경및 수주취소(각 23.9%)등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와함께 기업들의 부실재고 처리발생은 폐기가 가장 많은 전체의 38.3%
나치지, 상당부분이 그냥 버려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외에 타제품전용(30.3%)이나 개조사용(25.9%)및 매각(23.4%)등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를 생산형태별로 분석해보면 가공생산을 제외한 조립생산, 장치생산
모두 폐기가 가장 높게 나타나 부실재고의 처리방법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재공재고(원/부자재가 공정에 투입되어 완제품으로 창고에 입고
전까지 제조현장에 놓여있는 물건/반제품제외)역시 기업에 큰부담이
되고있는데 그 발생원인은 다품종추세를 반영, 품종교체빈번(35%)이
가장높게 나타났으며 공정간 능력불균형(29.7%), 불량품다발(14.7%),
일정계획오류(12.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결과 제조공정에 영향을 주는 설비/작업자/자재/
품질/공정관리등 5가지 요인중 기업규모/생산형태에 관계없이 제조공정
관리체계(40.5%)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