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아직도 창업자과 그 2세가 주도..KPC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의 기업경영은 아직도 창업자와 창업자 2세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생산성본주 (KPC)는 종업원 50인이상 제조업체 31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기업의 경영력평가"보고서를 통해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기업이 전체의 43.6%, 형식상 분리돼 있으나 소유자의
영향력이 큰 기업은 38%으로 나타나 결국 81.6%의 기업이 창업자와 그2세에
의해 경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소유와 경영이 완전분리된 기업은 18.4% 뿐이다.
소유와 경영의 분리정도에 따른 경영성과는 완전분리에 가까울수록 늦게
나타났다.
대기업의 경우 완전분리->형식분리->미분리의 순으로 계성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돼 전문경영인에 의한 책임경영풍토의 정착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수식의 개인지분율을 50% 이상이 38.9%, 30~50%미만이 27.2%로
분석됐다.
이는 주식소유가 여전히 특정개인에 집중되고 있어 기업공개나 실질적
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는이유라고 생산성본부는 지적했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생산성본주 (KPC)는 종업원 50인이상 제조업체 31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기업의 경영력평가"보고서를 통해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기업이 전체의 43.6%, 형식상 분리돼 있으나 소유자의
영향력이 큰 기업은 38%으로 나타나 결국 81.6%의 기업이 창업자와 그2세에
의해 경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소유와 경영이 완전분리된 기업은 18.4% 뿐이다.
소유와 경영의 분리정도에 따른 경영성과는 완전분리에 가까울수록 늦게
나타났다.
대기업의 경우 완전분리->형식분리->미분리의 순으로 계성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돼 전문경영인에 의한 책임경영풍토의 정착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수식의 개인지분율을 50% 이상이 38.9%, 30~50%미만이 27.2%로
분석됐다.
이는 주식소유가 여전히 특정개인에 집중되고 있어 기업공개나 실질적
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는이유라고 생산성본부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