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시장 개방 성실히 이행해야"...달라라 미국 재무차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찰스 달라라 미재무성차관보는 한국이 금융써비스시장을 제대로 개방하지
않을경우 미행정부는 의회로부터의 거센 대한보복압력에 직면하게 될것이라고
말했다.
26,27일 양일간 한-미 금융정책회의에 미국측 수석대표로 참석했던 달라라
차관보는 28일 상오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정부에 대해 미국계 금융기관에
대한 차별대우의 철폐를 강력히 요구했다고 밝히고 이같이 말했다.
*** 긍정평가 못받을땐 보복 압력 본격화 ***
그는 "올해안으로 미행정부는 미국계 금융기관들이 한국에서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지 의회에 보고해야 하며 이때 긍정적 평가를 받지 못할 경우
의회의 대한보복압력은 본격화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환율문제에 대해선 "지난해 한국의 무역흑자가 크게 감소했으나 GNP의
2.5%수준으로 여전히 많다"고 지적, "무역흑자가 줄어들수 있도록 원화를
추가절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의 시장평균환율제도 도입을 적극 환영하나 외환규제도 외환시장의
규모가 왜소, 정부개입에 의한 환율조정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환율이
시장실세를 정확히 반영하기도 어렵다는게 미국의 견해라고 밝혔다.
않을경우 미행정부는 의회로부터의 거센 대한보복압력에 직면하게 될것이라고
말했다.
26,27일 양일간 한-미 금융정책회의에 미국측 수석대표로 참석했던 달라라
차관보는 28일 상오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정부에 대해 미국계 금융기관에
대한 차별대우의 철폐를 강력히 요구했다고 밝히고 이같이 말했다.
*** 긍정평가 못받을땐 보복 압력 본격화 ***
그는 "올해안으로 미행정부는 미국계 금융기관들이 한국에서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지 의회에 보고해야 하며 이때 긍정적 평가를 받지 못할 경우
의회의 대한보복압력은 본격화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환율문제에 대해선 "지난해 한국의 무역흑자가 크게 감소했으나 GNP의
2.5%수준으로 여전히 많다"고 지적, "무역흑자가 줄어들수 있도록 원화를
추가절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의 시장평균환율제도 도입을 적극 환영하나 외환규제도 외환시장의
규모가 왜소, 정부개입에 의한 환율조정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환율이
시장실세를 정확히 반영하기도 어렵다는게 미국의 견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