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공산권지역 무역관 개설로 북방정책의 첨병역할을 담당해온 무공은
동독과의 무역사무소 개설합의로 사실상 동구지역 무역사무소 개설
추진작업을 일단락 짓고 앞으로 무역관 설치 추진 대상 국가로 베트남과
중국을 지적.
그러나 베트남과 중국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모두 우리 기업들과의
실질적인 교류관계가 상당히 깊은 단계까지 발전돼 있어 무역관설치가
시급한 실정이지만 정치외교적으로 미묘한 점이 많아 무역공사측으로서도
다소 난감하다는 분위기.
무역관 개설은 지금까지 통상외교적 측면에서 정부차원의 수교와 연계돼
추진되어왔으나 이들 국가와는 정부차원의 관계수립과는 별도로 추진되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 중론.
이같은 주장은 베트남의 경우 미국과의 관계가 해소된다해도 아세안
국가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고 중국과는 지난해 5월 무역사무소
교환개설 협상에서도 나타났듯이 정경분리원칙을 포기하지 않을 뿐 아니라
소련과 무역사무소 교환개설 방식인 영사처의 형태도 중국측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연간 교역규모가 30억달러를 넘어선 중국및 공산권 국가가운데
교역규모가 3위인 베트남과는 우선 무역사무소부터 개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 베트남과는 오는 4월 25일 무역공사를 중심으로한 통상
사절단의 방문을 통해 구체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분석.
한편 무역공사관계자는 동구 국가 가운데 이제 루마니아 정도가 무역사무소
개설 의미가 있을지 모르지만 사실상 무역관 개설이 마무리됐다고 지적하면서
지난 83년 가장 먼저 접촉했던 동독과 체코가 가장 늦게 무역관 개설이
이루어지게 된데 대해 아이러니컬한 결과라고 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