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슬로바키아는 시장경제체제도입을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앞으로 3개월
안에 코메콘(동구권상호원조회의)의 비상업용및 관광용 환율협정을 파기할
것이라고 바클라프 클라우스 체코재무장관이 23일 밝혔다.
*** 시장경제도입 일환 석달내 조치 ***
클라우스장관은 이날 정부회의가 끝난후 TV성명을 통해 "정부가 22일
코메콘의 환율협정을 파기키로 하고 이같은 결정을 모스크바의 코메콘본부에
통보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코메콘 회원국들 가운데 이같은 조치를 취한 것은 체코가 처음이다.
현재 코메콘의 고정환율제하에서 코메콘회원국 통화사이의 관계를 변경
하려면 반드시 당사국간에 관련협정을 체결해야만이 가능했었다.
모든 동구국통화는 불환통화이다.
얀 타우베르 체코 재무부대변인은 "기존의 상황은 두자리숫자의 인플레율
을 보이고 있는 헝가리등 다른 동구국들과는 달리 인플레율이 5-6%밖에 안
되는 체코에는 엄청나게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체코의 국경지역상점들은 유리한 관광환율을 이용, 투기할 목적으로 몰려
드는 헝가리, 폴란드및 유고슬라비아 관광객들 때문에 물건이 동이 나고
있는 실정이다.
체코정부관리들은 이번 조치에도 불구하고 관광용및 비상업용 거래외에
코메콘 회원국 개별기업간의 상업적 거래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