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컴팩트 디스크용 칩세트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 삼양사의 한일합작 텔레프탈산 (TPA) 생산공장이 27일부터 본격
적인 제품생산에 들어감으로써 앞으로 TPA의 공급초과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주) 삼양사와 일본의 미쓰비시화성이 각각 40%씩 출자하고 원료
공급선인 호남정유가 나머지 20%를 투자해 지난해 7월 설립한 (주) 삼남석유
화학은 전남 여천 석유화학단지내 3만 7,200평의 부지에 총 960억원의
공사비를 투입, 지난 2월 관공한 데 이어 그동안 공장 시운전 과정을
거쳐 27일부터 제품생산에 들어갔다.
화섬업계의 폴리에스터 원료로 사용되는 TPA는 연간 국내 수요가
약 110만톤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그동안 삼성석유화학에서 연간 약 45만톤을
독점공급해 오다 지난해부터 증설 및 신규참여가 대거 이루어져 삼성
석유화학이 연간 65만톤 규모의 생산체제를 갖추었고 여기에 선경
인더스트리, 삼양사, 고려합섬등이 잇따라 TPA 생산에 신규참여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말부터 가동에 들어간 선경의 울산 TPA 공장은 연간
생산규모가 약 20만톤으로 삼남석유화학의 생산규모와 비슷하고 여기에
오는 5월부터 고려합섬의 TPA 공장이 완공되면 TPA의 국내 생산규모는
약 130만톤에 육박할 것으로 보여 연간 20만톤 정도의 TPA 초과공급
현상이 초래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TPA는 의류와 타이어코드등의 원료인 폴리에스터섬유 뿐 아니라
폴리에스터 필름 및 식품과 음료용기로 사용되는 페트병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적인 제품생산에 들어감으로써 앞으로 TPA의 공급초과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주) 삼양사와 일본의 미쓰비시화성이 각각 40%씩 출자하고 원료
공급선인 호남정유가 나머지 20%를 투자해 지난해 7월 설립한 (주) 삼남석유
화학은 전남 여천 석유화학단지내 3만 7,200평의 부지에 총 960억원의
공사비를 투입, 지난 2월 관공한 데 이어 그동안 공장 시운전 과정을
거쳐 27일부터 제품생산에 들어갔다.
화섬업계의 폴리에스터 원료로 사용되는 TPA는 연간 국내 수요가
약 110만톤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그동안 삼성석유화학에서 연간 약 45만톤을
독점공급해 오다 지난해부터 증설 및 신규참여가 대거 이루어져 삼성
석유화학이 연간 65만톤 규모의 생산체제를 갖추었고 여기에 선경
인더스트리, 삼양사, 고려합섬등이 잇따라 TPA 생산에 신규참여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말부터 가동에 들어간 선경의 울산 TPA 공장은 연간
생산규모가 약 20만톤으로 삼남석유화학의 생산규모와 비슷하고 여기에
오는 5월부터 고려합섬의 TPA 공장이 완공되면 TPA의 국내 생산규모는
약 130만톤에 육박할 것으로 보여 연간 20만톤 정도의 TPA 초과공급
현상이 초래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TPA는 의류와 타이어코드등의 원료인 폴리에스터섬유 뿐 아니라
폴리에스터 필름 및 식품과 음료용기로 사용되는 페트병의 원료로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