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실용위성시장 대미개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은 장차 지구관측 위성등 순수 연구개발 위성을 제외한 통신,방송,
기상등 3개 분야의 실용위성 시장을 전면개방할 방침이다.
인공위성의 정부조달 문제를 둘러싸고 그동안 미국측과 끈질긴 협상을
벌여온 일본은 차기 통신위성 CS-4의 경우, 연구개발 부분에 한해 자주
개발을 추진하고 기타 상용및 실용위성은 모두 문을 열기로 해 양산체제를
확립한 미국의 시장지배가 일부 우려되고 있다.
관련 메이커에 의하면 일본은 위성시장은 연간 약500억엔으로 일년에
실용위성 2기 정도 제작할 수 있는 규모인데 반해 미국은 세계 최대인
휴즈 항공을 비롯하여 RCA, 포드등 3개사가 포진, 세계전체 시장의
80%를 쥐고 있으며 양산체제로 들어갈 경우, 일본의 50-60% 수준에서
만들수 있어 실용위성 분야가 공개입찰에 부쳐지면 일본의 메이커들은
거의 전멸할 것이라고 업계측은 말했다.
일본정부는 외무,우정성 담당자들을 28일 미국에 보내 일본측의 양보안을
제시, 구체적인 사항을 협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상등 3개 분야의 실용위성 시장을 전면개방할 방침이다.
인공위성의 정부조달 문제를 둘러싸고 그동안 미국측과 끈질긴 협상을
벌여온 일본은 차기 통신위성 CS-4의 경우, 연구개발 부분에 한해 자주
개발을 추진하고 기타 상용및 실용위성은 모두 문을 열기로 해 양산체제를
확립한 미국의 시장지배가 일부 우려되고 있다.
관련 메이커에 의하면 일본은 위성시장은 연간 약500억엔으로 일년에
실용위성 2기 정도 제작할 수 있는 규모인데 반해 미국은 세계 최대인
휴즈 항공을 비롯하여 RCA, 포드등 3개사가 포진, 세계전체 시장의
80%를 쥐고 있으며 양산체제로 들어갈 경우, 일본의 50-60% 수준에서
만들수 있어 실용위성 분야가 공개입찰에 부쳐지면 일본의 메이커들은
거의 전멸할 것이라고 업계측은 말했다.
일본정부는 외무,우정성 담당자들을 28일 미국에 보내 일본측의 양보안을
제시, 구체적인 사항을 협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