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도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강원대 안종태교수(경영학)가 서울시내 택시운전사 292명과
택시회사 사용자(관리자)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택시운송 실태조사
에서 밝혀졌다.
이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운전자중 <>40.8%(119명)가 사용자를 "별로 신뢰
하지 않는다 <>15.8%(46명)는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반면 <>5.1%
(15명)만이 "전적으로 신뢰한다" <>38.4%(112명)는 "어느정도 신뢰한다"고
각각 대답했다.
또 조사대상운전사의 72.3%에 해당하는 211명이 "노사간의 대화가 원활치
못하거나 전혀 원활치 못하다"고 응답한 반면 매우 원활(2.7%, 8명) 하거나
원활(24.3%, 71명) 하다고 대답한 비율은 매우 저조했다.
노사분규의 주요원인에 대해선 운전사측은 <>기본급과 업적급을 절충한
현행 임금체계(35.6%, 104명) <>독선적/전근대적 회사의 경영방침(28.1%,
82명) <>낮은 임금수준(20.2%, 59명)등 사용자측의 잘못을 지적했고 사용자
측은 <>일반적 사회분위기(31.2%, 44명) <>운전기사의 자질문제(29.1%, 41명)
<>현행 임금제도(20.6%, 29명) <>잘못된 교통정책(12.1%, 17명)등 운전사측과
사회적 분위기에 책임을 돌렸다.
*** 반말등 인격적 모독 가장 큰 불만 ***
운전사가 승객에 대해 갖는 가장 큰 불만은 승객의 반말등 인격적 모독을
할때(45.2% 132명)로 밝혀졌으며 그 다음은 동행자의 도중승하차(22.6%
66명), 시간재촉등 과속요구(14% 41명), 음주승차(12% 35명), 운행중 행선지
변경(5.1% 15명), 과대한 화물적재요구(0.7%, 2명)등으로 분석됐다.
교통사고 발생원인에 대해선 운전사는 <>수입금의 증대압력(34.2%, 100명)
<>운전사의 부주의, 피로, 과속(30.5% 89명) <>비합리적 교통체계(12.7%
37명)등을 주로 꼽았으나 사용자측은 <>운전사의 부주의, 피로, 과속(56%,
79명) <>도로불량 및 안전시설미비(14.2% 20명) <>비합리적 교통체계(14.2%
20명)등을 지적했다.
이밖에 합승에 대해 운전사는 필요하다(64.4% 188명), 합승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25.3% 74명), 금지해야 한다(8.6% 25명)고 대체로
찬성한 반면 사용자측은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64.6% 128명),
필요하다(20.2% 40명), 금지해야한다(15.2% 30명)등으로 제조적 장치마련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