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자재가 하락세따라 섬유/전자제품등 인하 여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주요 국제원자재시세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여 국내관련산업제품
가격을 다소 인하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9일 산업연구원이 조사한 ''90년 국제원자재가격전망에 따른 국내
산업제품가격에의 파급효과 분석" 에 따르면 올해 국제원자재가격은
원당, 원목등 일부품목의 경우 공급부족과 수요증가로 소폭 상승세를
보일 것이나 원유가격이 생산증대로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는데다
알루미늄, 동, 아연등 비철금속과 소맥, 대두등 곡물시세가
큰 폭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 음식료품 0.23% 비철금속 6.77% 하락요인 ***
이에 따라 수입원자재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산업의 제품가격에서
발생하는 1차효과로 목제품 (0.77%), 석유화학제품 (0.09%) 등 일부품목
의 가격을 소폭 상승시키는 반면 음식료품 (-0.23%), 섬유 및 가죽
(-0.02%), 제철 (-0.05%), 비철금속 (-6.77%), 전기전자 (-0.11%) 등
주요제품의 가격을 다소 큰 폭으로 내릴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같은 제품을 중간재로 사용하는 산업제품의 가격에서 발생하는
2차효과로는 비철금속제품이 0.79% 하락하는 것을 비롯 전기전자제품과,
금속제품이 0.29%, 일반기계가 0.14%, 정밀기계가 0.09%, 제강이
0.08%, 수송용장비가 0.06% 그리고 인쇄/종이가 0.03% 떨어지는등
대부분 관련산업제품의 가격을 소폭 인하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광산품, 목제품, 석유화학제품, 전력, 가스 및 수도의
경우 가격상승요인이 일부 발생, 국내산업전체로 볼때 0.04%의
하락효과를 가져오는데 그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올해 원자재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더라도 국내물가에
미치는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가격을 다소 인하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9일 산업연구원이 조사한 ''90년 국제원자재가격전망에 따른 국내
산업제품가격에의 파급효과 분석" 에 따르면 올해 국제원자재가격은
원당, 원목등 일부품목의 경우 공급부족과 수요증가로 소폭 상승세를
보일 것이나 원유가격이 생산증대로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는데다
알루미늄, 동, 아연등 비철금속과 소맥, 대두등 곡물시세가
큰 폭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 음식료품 0.23% 비철금속 6.77% 하락요인 ***
이에 따라 수입원자재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산업의 제품가격에서
발생하는 1차효과로 목제품 (0.77%), 석유화학제품 (0.09%) 등 일부품목
의 가격을 소폭 상승시키는 반면 음식료품 (-0.23%), 섬유 및 가죽
(-0.02%), 제철 (-0.05%), 비철금속 (-6.77%), 전기전자 (-0.11%) 등
주요제품의 가격을 다소 큰 폭으로 내릴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같은 제품을 중간재로 사용하는 산업제품의 가격에서 발생하는
2차효과로는 비철금속제품이 0.79% 하락하는 것을 비롯 전기전자제품과,
금속제품이 0.29%, 일반기계가 0.14%, 정밀기계가 0.09%, 제강이
0.08%, 수송용장비가 0.06% 그리고 인쇄/종이가 0.03% 떨어지는등
대부분 관련산업제품의 가격을 소폭 인하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광산품, 목제품, 석유화학제품, 전력, 가스 및 수도의
경우 가격상승요인이 일부 발생, 국내산업전체로 볼때 0.04%의
하락효과를 가져오는데 그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올해 원자재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더라도 국내물가에
미치는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