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수출상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이들상품중 금연운동확산과 건강에 대한 관심제고로 미국의
내수시장에서 이미 한계를 맞고 있는 담배와 육류제품등은
미행정부와 관련업계의 적극적인 해외시장 공략조치에 힘입어
최근 수년동안 수출규모가 30% 이상의 초고속 신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비디오테이프 신장율 1위 ***
미국의 유력경제전문지 "포천"의 최신호 (4월23일자) 에 따르면 지난 85년
부터 89년 상반기까지의 4년6개월동안 가장 수출증가율이 높았던
10대 상품중 오디오테이프와 비디오 및 컴퓨터테이프등은 32.3%의
신장률을 기록, 1위를 차지했다.
*** 담배도 금연 탓 30%나 ***
미외화와 미국내 소비자단체들로부터도 거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담배류수출은 이 기간중 30.4%가 늘어나 2위를 차지했다.
담배류수출은 지난 88년 7월부터 89년 6월까지 1년동안 무려
32억달러규모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88 종합무역법의 슈퍼301조를 동원, 한국등 일부국가의 쇠고기
시장개방을 강력하게 요구해 왔던 육류업자들은 30%의 높은 수출신장률을
기록, 담배류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 건강관심 영향 육류까지 수출 전환 ***
88년 7월부터 89년 6월말까지 미국은 27억달러어치의 육류를 해외시장에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88년 7월부터 89년 6월까지의 기간중 수출물량면에서 1위 (115억
달러) 를 차지한 전자부품의 수출증가율은 과거 4년6개월간 25%에 불과해
6위에 머물렀다.
또한 전자의료장비와 전기기계류의 수출증가율도 23.3%와
19.8%에 그쳐 미국이 전략적 수출상품이 중간재성격의 산업장비보다
최종소비재중심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