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6개월 앞당겨 22일 실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주당은 오는 5월9일 전당대회에서 당헌을 개정, 총재가 당을 대표하되
당정협조관련 주요사안을 제외한 당무는 대표최고위원에게 대부분 위임.
처리하는 방향의 당지도체제를 채택키로 했다.
이에따라 전당대회이후에는 노태우 대통령이 민자당총재로서 당을 대표하되
행정부및 당정협조관계 주요사안을 관장하고 당내 인사를 포함, 순수 당무의
결정권은 "대표최고위원"에 위임, 김영삼 최고위원이 김종필 최고위원,
박태준 최고위원대행과의 긴밀한 협력하에 실질적 당권을 행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당헌개정소위 구성해 지도체제 절충 ***
그러나 민정/공화계는 총재 이하 3인최고위원의 당무처리방식을 놓고
"합의제"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민주계는 대표최고위원이 다른 최고위원과
"협의"를 거쳐 당무를 총괄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이문제에 대한 절충결과가
주목된다.
민주계의 황병태 의원은 19일 "5월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의 지위와
권능에 관한 당헌 17조1항의 "최고위원은 3인을 두며 공동으로 당을 대표하고
합의하여 당무를 통괄한다"는 조항을 "총재는 당을 대표하며 대표최고위원이
다른 최고위원과 협의하여 당무를 통괄한다"로 개정키로 노대통령과
세 최고위원간에 이미 원칙적으로 합의됐으며 17일 청와대 회동에서도
재확인됐다"고 밝혔다.
황의원은 또 "노대통령은 당총재로서 당무중 당정관계 주요업무만
관장한다는 내용을 개정 당헌에 부칙으로 명기키로 했다"고 전하고 "현행
집단지도체제 성격의 최고위원 "합의제" 운영을 정치적 의미의 "협의제"로
바꿔 실질적 당무결정권을 대표 최고위원에 부여키로 한데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정계인 김윤환 정무장관은 "민자당의 지도체제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인 만큼 최고위원간의 합의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합당정신"이라고 합의제성격을 강조해 양계파간 이견이 있음을 시사하고
"따라서 최고위원의 지위와 권능에 관한 당헌은 개정이 불필요하다"고
말해 민주계 요구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와함께 민정계의 한 핵심관계자는 "지난 17일 청와대회동에서
노대통령이 최고위원들에게 당무를 일임하면서 세 최고위원들이 당무에
관한 일들을 긴밀하게 논의, 원만한 합의를 이루어 처리해 달라는 의미"
라고 풀이했다.
민자당은 이에 따라 당헌개정의 세부작업을 위한 소위를 구성, 이같은
지도체제 관련 조한을 포함한 구체안을 마련한후 당무회의 의결을 거쳐
전당대회에서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민자당은 이번 전당대회에서 노대통령을 총재로, 김영삼 최고위원을
대표최고위원으로, 김종필 최고위원과 박태준 최고위원대행을 최고위원
으로 각각 선출할 예정이다.
당정협조관련 주요사안을 제외한 당무는 대표최고위원에게 대부분 위임.
처리하는 방향의 당지도체제를 채택키로 했다.
이에따라 전당대회이후에는 노태우 대통령이 민자당총재로서 당을 대표하되
행정부및 당정협조관계 주요사안을 관장하고 당내 인사를 포함, 순수 당무의
결정권은 "대표최고위원"에 위임, 김영삼 최고위원이 김종필 최고위원,
박태준 최고위원대행과의 긴밀한 협력하에 실질적 당권을 행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당헌개정소위 구성해 지도체제 절충 ***
그러나 민정/공화계는 총재 이하 3인최고위원의 당무처리방식을 놓고
"합의제"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민주계는 대표최고위원이 다른 최고위원과
"협의"를 거쳐 당무를 총괄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이문제에 대한 절충결과가
주목된다.
민주계의 황병태 의원은 19일 "5월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의 지위와
권능에 관한 당헌 17조1항의 "최고위원은 3인을 두며 공동으로 당을 대표하고
합의하여 당무를 통괄한다"는 조항을 "총재는 당을 대표하며 대표최고위원이
다른 최고위원과 협의하여 당무를 통괄한다"로 개정키로 노대통령과
세 최고위원간에 이미 원칙적으로 합의됐으며 17일 청와대 회동에서도
재확인됐다"고 밝혔다.
황의원은 또 "노대통령은 당총재로서 당무중 당정관계 주요업무만
관장한다는 내용을 개정 당헌에 부칙으로 명기키로 했다"고 전하고 "현행
집단지도체제 성격의 최고위원 "합의제" 운영을 정치적 의미의 "협의제"로
바꿔 실질적 당무결정권을 대표 최고위원에 부여키로 한데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정계인 김윤환 정무장관은 "민자당의 지도체제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인 만큼 최고위원간의 합의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합당정신"이라고 합의제성격을 강조해 양계파간 이견이 있음을 시사하고
"따라서 최고위원의 지위와 권능에 관한 당헌은 개정이 불필요하다"고
말해 민주계 요구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와함께 민정계의 한 핵심관계자는 "지난 17일 청와대회동에서
노대통령이 최고위원들에게 당무를 일임하면서 세 최고위원들이 당무에
관한 일들을 긴밀하게 논의, 원만한 합의를 이루어 처리해 달라는 의미"
라고 풀이했다.
민자당은 이에 따라 당헌개정의 세부작업을 위한 소위를 구성, 이같은
지도체제 관련 조한을 포함한 구체안을 마련한후 당무회의 의결을 거쳐
전당대회에서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민자당은 이번 전당대회에서 노대통령을 총재로, 김영삼 최고위원을
대표최고위원으로, 김종필 최고위원과 박태준 최고위원대행을 최고위원
으로 각각 선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