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면 톱> 유화업계, 출혈수출로 몸살...생산원가에도 미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석유화학업계가 생산비를 밑도는 가격수준에 내다파는 출혈수출로 몸살을
앓고 있다.
29일 석유화학업계는 PS(폴리스티렌) ABS PP(폴리프로필렌)등 주요 수출
품목을 생산비에도 못미치는 가격에 내다팔고 있다.
*** 과잉생산 / 과당경쟁 탓 ***
제일모직 동부화학 효성바스프등 PS업체들은 전체 생산량의 20%에서
40%정도를 톤당 900~950달러선에 내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유럽지역의 국제가격 1,300달러의 70%정도에 불과할뿐 아니라 원료인
SM의 수입가격에도 채 못미치는 수준이다.
이들 업체는 PS의 채산을 맞추기 위해서는 톤당 수출가격이 최소한
200~300달러정도는 올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 PS등 국제가의 겨우 70%선 받아 ***
한남화학 럭키등 ABS업체들은 국제가격 1,700~2,000달러에 훨씬
못미치는 1,300달러선에 동남아에 수출중이다.
이 품목의 적정 수출가격은 톤당 1,500달러선으로 알려졌다.
SM(스티렌모노머)의 경우 국제가격(톤당)인 1,300달러보다 200달러나
싼 1,100달러선에 팔려 나가고 있다.
대림산업등은 손익분기점수준인 톤당 860~870달러에 HDPE(고밀도 폴리
에틸렌)를 미국 동남아에 내보내고 있다.
원료인 에틸렌가격의 상승등을 감안, 수출가격이 최소한 1,000달러는
돼야 한다고 업계는 밝히고 있다.
럭키소재등은 카본블랙을 국제시세보다 20%나 싼값에 동남아 아프리카에
공급하고 있다.
유화업계가 이처럼 출혈수출에 나서고 있는 것은 합성수지생산이 수요를
30%정도나 웃도는 공급과잉을 빚어 재고물량을 처분하기 위해서이다.
또 해외시장을 개척키위한 국내업체간 과당경쟁 역시 수출가격을 떨어
뜨리는 또다른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업계는 관련제품을 수출할 경우 내수공급때보다 현금화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훨씬 단축할수 있긴 하나 그 가격이 너무 싸 업계가 엄청나게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고 제값을 받기 위한 수출관련업체간 협의
조정등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앓고 있다.
29일 석유화학업계는 PS(폴리스티렌) ABS PP(폴리프로필렌)등 주요 수출
품목을 생산비에도 못미치는 가격에 내다팔고 있다.
*** 과잉생산 / 과당경쟁 탓 ***
제일모직 동부화학 효성바스프등 PS업체들은 전체 생산량의 20%에서
40%정도를 톤당 900~950달러선에 내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유럽지역의 국제가격 1,300달러의 70%정도에 불과할뿐 아니라 원료인
SM의 수입가격에도 채 못미치는 수준이다.
이들 업체는 PS의 채산을 맞추기 위해서는 톤당 수출가격이 최소한
200~300달러정도는 올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 PS등 국제가의 겨우 70%선 받아 ***
한남화학 럭키등 ABS업체들은 국제가격 1,700~2,000달러에 훨씬
못미치는 1,300달러선에 동남아에 수출중이다.
이 품목의 적정 수출가격은 톤당 1,500달러선으로 알려졌다.
SM(스티렌모노머)의 경우 국제가격(톤당)인 1,300달러보다 200달러나
싼 1,100달러선에 팔려 나가고 있다.
대림산업등은 손익분기점수준인 톤당 860~870달러에 HDPE(고밀도 폴리
에틸렌)를 미국 동남아에 내보내고 있다.
원료인 에틸렌가격의 상승등을 감안, 수출가격이 최소한 1,000달러는
돼야 한다고 업계는 밝히고 있다.
럭키소재등은 카본블랙을 국제시세보다 20%나 싼값에 동남아 아프리카에
공급하고 있다.
유화업계가 이처럼 출혈수출에 나서고 있는 것은 합성수지생산이 수요를
30%정도나 웃도는 공급과잉을 빚어 재고물량을 처분하기 위해서이다.
또 해외시장을 개척키위한 국내업체간 과당경쟁 역시 수출가격을 떨어
뜨리는 또다른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업계는 관련제품을 수출할 경우 내수공급때보다 현금화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훨씬 단축할수 있긴 하나 그 가격이 너무 싸 업계가 엄청나게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고 제값을 받기 위한 수출관련업체간 협의
조정등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