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수출산업 침체 수렁...양산 1MD램 국제시세 폭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 전자산업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수출산업이
세계적인 물량공급과잉에다 가격하락현상까지 겹쳐 침체국면으로 빠져들고
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현대전자및 금성일렉트론등 반도체
3사는 세계메모리 반도체시장을 개방해 지난 수년간 매년 2,000억~3,000
억원의 대규모 자본을 투입, 256KD램부터 1MD램및 4MD램 양산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시장을 제대로 확보치 못해 막대한 투자손실을 입고 있다.
*** 수출채산성 확보에 고전 ***
이들 반도체업체들은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생산량 가운데 95%이상을
해외수출에 의존하고 있는데 해외반도체시장 진입초기부터 미국, 일본등
선진국 반도체업체들의 대규모 시설확장과 기술및 생산성 향상을 바탕으로
저가물량 공세로 수출채산성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업체 자금압박에 시달려 ***
지난해부터 양산에 들어간 1MD램의 경우 해외시장가격이 1년여만에
개당 20~30달러이던 것이 6~7달러로 폭락함에 따라 선진국과 비교,
상대적으로 제품수출이 떨어지는 국내반도체회사들은 재투자비용을
제대로 회수하지 못함에 따라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또 4MD램에 대해서는 올해초부터 시장에 진입한다는 목표로 삼성전자를
비롯, 현대전자/금성일렉트론 3사 모두 월 100만~400만개의 양산체제를
갖춘 것으로 알려졌으나 세계적으로 4MD램시장은 내년 상반기이후에나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공장가동을 1년이상 미루어야
하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적인 물량공급과잉에다 가격하락현상까지 겹쳐 침체국면으로 빠져들고
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현대전자및 금성일렉트론등 반도체
3사는 세계메모리 반도체시장을 개방해 지난 수년간 매년 2,000억~3,000
억원의 대규모 자본을 투입, 256KD램부터 1MD램및 4MD램 양산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시장을 제대로 확보치 못해 막대한 투자손실을 입고 있다.
*** 수출채산성 확보에 고전 ***
이들 반도체업체들은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생산량 가운데 95%이상을
해외수출에 의존하고 있는데 해외반도체시장 진입초기부터 미국, 일본등
선진국 반도체업체들의 대규모 시설확장과 기술및 생산성 향상을 바탕으로
저가물량 공세로 수출채산성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업체 자금압박에 시달려 ***
지난해부터 양산에 들어간 1MD램의 경우 해외시장가격이 1년여만에
개당 20~30달러이던 것이 6~7달러로 폭락함에 따라 선진국과 비교,
상대적으로 제품수출이 떨어지는 국내반도체회사들은 재투자비용을
제대로 회수하지 못함에 따라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또 4MD램에 대해서는 올해초부터 시장에 진입한다는 목표로 삼성전자를
비롯, 현대전자/금성일렉트론 3사 모두 월 100만~400만개의 양산체제를
갖춘 것으로 알려졌으나 세계적으로 4MD램시장은 내년 상반기이후에나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공장가동을 1년이상 미루어야
하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