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4일 세계경제가 90년중 아시아권의 활약에도
불구, 지난해에 비해 성장률이 "보다 낮아지나 전반적으로 불황조짐은
가시화되지 않을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150여객국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이날 워싱턴에서 개막되는
IMF 세은합동총회(매6개월개최)와 때를 같이해 공개한 "세계경제전망"에
관한 반기보고서에서 이같이 내다봤다.
보고서는 개도권의 경우 아시아국들의 경기활황이 특히 돋보이는 가운데
전년수준인 "3%내외의 성장이 광범위하게 이뤄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 아시아는 활황세 보여 ***
무역전망과 관련, 보고서는 무역신장률 축소도 불가피할것으로 내다
보면서 올해는 전년동기대비 6.5%, 91년은 5.3% 신장에 그칠것으로
추정했다.
세계무역은 지난해 7.25% 신장을 기록했으며 88년에는 9% 증가한바
있다.
보고서는 92-95년 사이의 중기경제전망에도 언급, 선진권이 국내
총생산(GDP)기준으로 평균 3% 경제성장을 이루며 인플레는 95년까지
약3.25%로 감소 될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개도권은 역내정부들의 경제정책이 거의 변하지 않는 가운데
약5%의 GDP성장이 이뤄지는 한편 인플레도 평균 12%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그러나 특히 선진국들의 경우 지난88년중반 이후
저성장을 감수한 긴축 통화정책을 취해왔음에도 불구, 90년대중
인플레가 경제침체를 부채질하는 최대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했다.
IMF는 지난해 미국과 일본이 무역역조를 줄이는데 상당부분 성공한
것으로 평가하면서 GATT(관세무역일반협정)틀안에서 이뤄져온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이 끝내 타결되지 못할 경우 무역자유화 실현노력은
무산될수밖에 없다고 경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