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0년 소련에 합병된 발트해 연안 3개 공화국의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들 3개 공화국 지도자들이 지난 12일 가지 회동에서는
탈소 독립을 향해 함께 연대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탈소운동의 전전상황을 살펴본다.
<> 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공화국 최고회의는 지난 3월11일 3백80만
인구를 가진 이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했다.
크렘린 당국은 탈소 독립을 뒷받침하는 일부 법률들을 철회시키기 위해
원유, 천연가스, 기타 원자재의 공급을 중단하는 경제봉쇄조취를 취했다.
리투아니아 관리들은 부분적인 경제봉쇄로도 이미 수천명이 실직했으며
이 실직자들은 소련 정부와의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리투아니아 의회는 16일 크렘린측에 대해 새로운 제안들을 내놓을 것으로
보이는데 카지미에라 프룬스키에네 리투아니아 총리는 금주중으로 소련
당국과의 회담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공화국 최고회의는 지난 3월30일 소련에 대해
자치권 행사를 선포하고 완전한 독립의 점진적 추진을 선언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대통령은 처음에 인구 1백50만의 에스토니아에
대해 탈소 독립 시도를 철회할 경우 개편된 소 연방에서와 <특별한 지위>
부여를 제의했으나 에스토니아는 독립운동을 견지했다.
지난주 에스토니아공화국은 소련 권력의 올가미들을 제거하고 국명에서
<소비에트 사회주의>란 용어를 삭제, 나라이름을 <에스토니아 공화국>으로
바꿨다.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에스토니아가 지난달 30일에 선포한
독립 선언은 법적으로 무효라는 대통령 포고령을 발표했다.
<> 라트비아 : 라트비아공화국 최고회의는 지난 4일 탈소 독립을 선언
했으나 이같은 조치는 일정한 기간을 정할수 없는 과도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 공화국은 전체 인구 2백70만 가운데 약 54%가 라트비아계이며 나머지는
주로 러시아계로 구성도 있는데 이들 러시아계 주민들의 다수는 독립을
반대하고 있다.
라트비아도 에스토니아와 같이 처음에는 고르바초프 대통령으로부터
개편된 소연방에서의 특별지위 부여를 제안받았으나 지난 4일의 독립
선언으로 이 제안을 거부했다.
고르바초프는 지난 14일 발표한 대통령 포고령을 통해 라트비아의 독립
선언은 <의회 통과 시점부터> 무효라고 선포했으나 소련 정부가 취할 다음
행동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