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사부는 최근 잇달아 말썽을 빚고 있는 응급환자 진료거부사태를
제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응급의료체계를 구축
내년부터 시행키로 했다.
보사부는 22일 하오 보사부회의실에서 제 3차 응급의료체계 구축추진
위원회를 열고 응급 의료통신망및 응급 의료정보센터, 응급 의료거점
병원지정등을 골자로 한 응급의료체계 구축 기본방안을 논의, 이같이
결정했다.
*** 응급환자 신고받아 신속 후송치료 ***
이 기본방안은 서울, 인천, 제주, 춘천등 각 시도별로 된 대진료권에
11개소의 응급 의료정보센터 (경인지역은 4개소)를 설치, 응급환자
발생신고를 받는대로 환자를 신속히 후송, 치료를 받을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방안은 또 인구단위로 응급환자의 접근을 용이토록 하기위해
전국 총 79개소에 응급의료거점병원 (응급의료센터)을 지정, 의료진이
평일은 물론 야간및 휴일에도 24시간 대기하며 응급환자를 치료토록
하고 있다.
보사부에 따르면 응급 의료거점병원은 대도시의 경우 인구 1백만명당
1개소 이상, 중소도시, 농어촌지역은 인구 50만명당 1개소이상을
설치토록 하고 있으며 서울은 2백 - 3 백병상이상 규모의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10개소를 지정하기로 했다.
*** 환자 신속 후송 방안 마련 ***
보사부는 응급환자 발생접수및 신속한 후송체계를 갖추기 위해
고유전화번호 (예시 129번) 를 확보하는 한편 군경헬기, 119구급대및
응급의료센터소속 구급차를 이용, 환자를 신속히 후송하는 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보사부는 응급실 필수요원으로 <> 응급의학과장 1명 <> 응급실전담
전문의 1명 <> 당직의사 3명 <> 간호사 2베드당 1명 <> 보조요원
(간호사수의 50%) <> 의료기사 1명 <> 운전기사 (앰블런스당 1명)등을
항시 대기토록 했으며 구급차는 중환자 수송용 1대, 일반환자 후송용
3대를 구비토록 할 방침이다.
보사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본방안을 내주중 열릴
제 4차 회의에서 확정 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