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는 4일 한국정부가 공개를 요구한 강제징용자 명부조사와 관련,
아시하라 관방부장관 주재로 외무, 노동, 후생, 법무, 총무청등 5개부처
국장급회의를 열어 각 부처의 중간조사결과를 종합하고 앞으로의 대책을
논의했다.
*** "보상문제는 일단락"...일본측, 견해 재확인 ***
일본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전쟁중 국가총동원법에 따라 강제징용을 담당
했던 부서는 후생성 근로국이나 이부서가 후에 노동성 직업안정국으로 편입
됐음을 확인, 앞으로의 조사는 노동성이 중심이돼 추진하되 조사대상을
지금까지의 중앙부처에서 지방자치단체에까지 확대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외무성 담당자는 뒤늦게 명부제출을 요구한 배경을 한국
외무부에 문의한 결과 강제연행실태를 역사상의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태평양전쟁 희생자 유족회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었다고 보고하고 다만 강제징용과 관련한 보상문제는 65년 한일
기본조약으로 이미 해결됐다는 것이 일본정부의 입장이라는 견해를 재차
확인했다.
일본정부 각 부처는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도 "강제징용자의 호적은 일본
국내 호적으로 옮겨지지 않았다"(법무성), "나이든 관계자들에게 문의했으
나 명부작성에 관여한 사람은 없었다"(후생성)는등 명부조사에 소극적이거나
책임회피적인 보고가 잇달아 앞으로의 조사에서도 명부가 나올 것으로 기대
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