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옥영 수산청장은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북태평양 미경제수역에서의
어업공동사업 쿼터확대를 위해 미행정부 및 의회의원들과 다각적인 접촉을
가졌으나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했다.
윤청장의 이번 교섭과정에서 미국이 소련과 함께 현재 연간 1백50만톤에
이르는 베링해 공해상에서의 명태조업을 33만톤으로 규제하려는 것으로
드러나 북태평양 명태잡이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 예비물량 한미공동사업물량 확보교섭 실패 ***
11일 주한한국대사관의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이 올해 북태평양에서의 어업
공동사업물량으로 책정한 20만톤이 소진됨에 따라 예비물량 30만톤중 일부를
공동사업 물량으로 확보하기 위해 윤청장이 기티스 볼렌 국무부 해양환경 및
과학담당차관보등과 일련의 교섭을 가졌으나 아무런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미행정부는 북태평양 경제수역내의 올해 예상 어획고 2백만톤중 20만톤을
한국, 일본, 폴란드, 중국, 소련등과의 공동사업 물량으로 책정했는데
한달만인 2월15일 20만톤이 모두 소진됐다.
연간 60만톤의 명태를 가공할 수 있는 공모선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은
미국등과의 공동사업 물량으로 올해 6만톤을 이용했을 뿐이다.
미국은 공동사업 물량을 88년 1백50만톤으로 책정했으나 미명태가공업의
발전에 따라 89년 50만톤, 90년에는 20만톤으로 대폭 줄였으며 91년에는
명목상의 숫자만 남길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공동사업 실적이 88년 24만5천톤에서 89년에는
9만톤으로 줄어들었다.
*** 공해상 어획규제 실시되면 한국 어획고 5만톤 수준으로 격감 ***
한편 미국은 소련과 함께 2백해리 경제수역이 미치지 않는 베링해의
공해상에서 한국,일본,폴란드,중국등이 연간 1백50만톤의 명태를 잡음으로써
그들 경제수역내의 명태들이 고갈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공해상에서의 연간
어획고를 33만톤으로 줄이기 위한 계획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는 어획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베링해 공해상에서 지난해 30만톤
의 명태를 잡았는데 공해상에서의 어획규제가 실시되면 우리나라의 어획고는
5만톤 수준으로 격감, 원양어업에 결정적인 타격이 올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