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라크의 전후복구사업에 국내 건설업체들의 진출이 부진한 것은
종래 저임금을 활용한 토목과 건축공사 중심의 수주전략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으로 수주전략은 플랜트, 전기, 통신, 유전개발, 기술용역
등 고기술 고부가가치 공종 위주로 추진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5일 산업연구원(KIET)에 따르면 종전 이후 이란과 이라크에 국내기업의
진출이 기대에 못미치고 있는 것은 전쟁중 철수했던 외국기업들이 전후
재진출로 인한 수주경쟁 격화, 국내기업의 임금상승과 후발개도국의 추격에
따른 고부가가치 공종의 수주난 등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이라크의 경우 이라크정부가 대부분 프로젝트에 금융을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업체들의 자금동원능력이 약해 수주기회를 많이 놓치고 있으며
이란의 경우는 자국산업의 기반확대를 위해 앞으로 환매거래방식을 채택한
플랜트 수입을 적극 늘려나갈 방침이어서 국내기업들의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KIET는 이에따라 중동각국의 자국화시책과 우리 근로자들의 임금상승
추세등으로 앞으로 국내기업의 해외건설산업 활로는 기술개발을 시급히
서둘러 고부가가치 공종을 수주하는 길 밖에 없으며 현재 서방 선진기업들이
독과점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공종의 수주는 자금동원능력이 경쟁력의 관건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대응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