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톱> 하반기 경제전망 극히 불투명..생산출하감소/가동율저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와 경제연구소들이 하나같이 9%선의 고도성장을 점치고 있으나
하반기 경제전망은 여전히 극히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증가세를 보여온 산업생산과 출하가 5월에는 감소세로
돌아서고 제조업 가동률도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조업체의 투자는 활기를 띠고 있다.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1.3% 하락 ***
29일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중 산업생산은
4월보다 2.2%, 출하는 3.7% 감소했고 제조업체 평균가동률도 80.3%에서
76.4%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조사시점의 경기상태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3월보다 1.3% 하락, 지난 72년5월 (94.9)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전월비 감소율이 1.3%에 이른 것은 지난 88년
5월 (1.9% 감소) 이래 처음이다.
또 8-9월께의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선행지수는 4월에 전월보다 0.1%
하락한데 이어 5월엔 제자리를 유지, 불투명한 하반기 경기를 예고하고
있다.
경제기획원은 이같은 상황에 대해 "5월중에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아세아자동차등 대형업체의 노사분규가 집중적으로 발생, 일시적으로
생산과 가동률감소현상을 보였다"고 밝히고 "하반기엔 정부의
내수 및 건설경기 안정시책등으로 전반적인 경기상승세는 다소
둔화되겠으나 제조업체의 투자가 활기를 띠고 있는데다 과소비현상이
진정되고 있어 구조면에선 건실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 제조업 설비투자는 활기, 내수과열 진정 추세 ***
투자동향을 보면 5월중 국내 기계제작업체의 수주액이 1년전보다
116.6%나 증가한 가운데 제조업체의 기계설비 발주규모도 68.9% (전년
동월비) 증가, 지난 88년 8월이후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고 산업용
기계 수입허가도 55.1% 늘었다.
공장등을 짓기 위한 공업용 건축허가 면적은 28.3% 증가했고
제조업체가 건설업체에 발주해 놓은 건설공사 예정액 전체로
치면 1년전보다 93.5%의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체의 설비투자가 늘면서 5월중 제조업체의 근로자수가 4월보다
9만5천명 증가, 지난해 9월이후 처음으로 광공업 부문의 고용증가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도소매판매액은 4월에 이어 5월에도 전월비 0.5% 감소, 내수과열
진정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백화점등 종합소매업종의 매출이 4월보다 10.3% 줄었고
승용차 VTR 대형냉장고등 고급 내구소비재 수요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경제전망은 여전히 극히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증가세를 보여온 산업생산과 출하가 5월에는 감소세로
돌아서고 제조업 가동률도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조업체의 투자는 활기를 띠고 있다.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1.3% 하락 ***
29일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중 산업생산은
4월보다 2.2%, 출하는 3.7% 감소했고 제조업체 평균가동률도 80.3%에서
76.4%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조사시점의 경기상태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3월보다 1.3% 하락, 지난 72년5월 (94.9)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전월비 감소율이 1.3%에 이른 것은 지난 88년
5월 (1.9% 감소) 이래 처음이다.
또 8-9월께의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선행지수는 4월에 전월보다 0.1%
하락한데 이어 5월엔 제자리를 유지, 불투명한 하반기 경기를 예고하고
있다.
경제기획원은 이같은 상황에 대해 "5월중에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아세아자동차등 대형업체의 노사분규가 집중적으로 발생, 일시적으로
생산과 가동률감소현상을 보였다"고 밝히고 "하반기엔 정부의
내수 및 건설경기 안정시책등으로 전반적인 경기상승세는 다소
둔화되겠으나 제조업체의 투자가 활기를 띠고 있는데다 과소비현상이
진정되고 있어 구조면에선 건실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 제조업 설비투자는 활기, 내수과열 진정 추세 ***
투자동향을 보면 5월중 국내 기계제작업체의 수주액이 1년전보다
116.6%나 증가한 가운데 제조업체의 기계설비 발주규모도 68.9% (전년
동월비) 증가, 지난 88년 8월이후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고 산업용
기계 수입허가도 55.1% 늘었다.
공장등을 짓기 위한 공업용 건축허가 면적은 28.3% 증가했고
제조업체가 건설업체에 발주해 놓은 건설공사 예정액 전체로
치면 1년전보다 93.5%의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체의 설비투자가 늘면서 5월중 제조업체의 근로자수가 4월보다
9만5천명 증가, 지난해 9월이후 처음으로 광공업 부문의 고용증가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도소매판매액은 4월에 이어 5월에도 전월비 0.5% 감소, 내수과열
진정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백화점등 종합소매업종의 매출이 4월보다 10.3% 줄었고
승용차 VTR 대형냉장고등 고급 내구소비재 수요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