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연구개발비 투자 저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철강업계가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철강21세기운동''을 적극 벌이고
있으나 국내 철강업체들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극히 저조한 것으로 집계됐다.
12일 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철강업체들의 연구개발비 투자액은 총
9백70억3천8백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백40억원 가량 증가했으나 총 매출액
대비 점유율은 1.2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업계의 연도별 연구개발비 투자실적은 지난 88년 8백여억원에서
지난해에는 6백30억원으로 뚝 떨어졌다 올해에 다소 회복된 수준이다.
그러나 이같은 철강업계의 연구개발비 투자율은 전산업 평균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일 뿐 아니라 투자비가 가장 높은 업종인 전기.전자 업계의
연구개발비 투자액이 매출액 대비 3%를 웃돌고 있는 점과 비교할 때 크게
저조한 실정이다.
또 일본 철강업계의 연구개발비 투자도 지난 87년 2.4%,88년 2.1%
등으로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업체별로는 일관제철 업체인 포철과 전기로 특수강업체들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는 각각 1.44%와 2.1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강관업체와 냉연강판 업체들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각각
0.16%와 0.38%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철강업계는 최근 후발 개발도상국들의 시장잠식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대대적인 신기술 및 고급제품 개발로 고부가가치화 구조로의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 투자의
대폭적인 확대가 요청되고 있다.
있으나 국내 철강업체들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극히 저조한 것으로 집계됐다.
12일 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철강업체들의 연구개발비 투자액은 총
9백70억3천8백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백40억원 가량 증가했으나 총 매출액
대비 점유율은 1.2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업계의 연도별 연구개발비 투자실적은 지난 88년 8백여억원에서
지난해에는 6백30억원으로 뚝 떨어졌다 올해에 다소 회복된 수준이다.
그러나 이같은 철강업계의 연구개발비 투자율은 전산업 평균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일 뿐 아니라 투자비가 가장 높은 업종인 전기.전자 업계의
연구개발비 투자액이 매출액 대비 3%를 웃돌고 있는 점과 비교할 때 크게
저조한 실정이다.
또 일본 철강업계의 연구개발비 투자도 지난 87년 2.4%,88년 2.1%
등으로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업체별로는 일관제철 업체인 포철과 전기로 특수강업체들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는 각각 1.44%와 2.1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강관업체와 냉연강판 업체들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각각
0.16%와 0.38%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철강업계는 최근 후발 개발도상국들의 시장잠식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대대적인 신기술 및 고급제품 개발로 고부가가치화 구조로의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 투자의
대폭적인 확대가 요청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