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난 「3.2」증시부양대책에 따라 기관투자가로 신규 지정된
각종 기금 및 공제단체들이 4개월여가 지나도록 주식매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등 증시안정책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펀드매입액도 7백50억 매입에 그쳐 ***
1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3.2」증시부양대책을 통해
국민연금기금, 석 유개발기금 등 31개 기금 및 공제단체를 세제상
배당소득에 대해 법인세를 면제해주 는 기관투자가로 추가 지정, 이들의
주식매입을 적극 유도해나가겠다고 발표한바 있 으나 지금까지 이들 신규
기관투자가의 주식매입은 극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어 장세안정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기금.공제단체들은 「3.2」대책 직후 새로 개발된
투자신탁회사들의 법인 형 펀드를 일부 매입한 것외에는 지금까지 거의
주식매수에 가담하지 않고 있어 이 들의 주식매수세 가담을 통해
기관투자가들의 주식보유비중을 높여나가겠다는 정부 의 계획이 사실상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투신사들이 이들 기금.공제단체를 겨냥해 개발한 법인형 펀드의
경우에도 한국.대한.국민등 3개 투신사가 각각 5백억원씩 총 1천5백억원
규모를 1차로 설정한 바 있으나 기금.공제단체들의 펀드매입액은
국민연금기금등 일부 기관들이 50%에 불 과한 7백50억원 어치만 매입했을뿐
한도의 절반밖에 소화하지 못해 펀드의 추가설정 은 엄두도 못내고 있는
상황이다.
*** 전문인력 부족이유로 직접적인 주식투자에 전혀 나서지 않아 ***
더구나 이들 신규 기관투자가는 전문인력 부족등을 이유로 직접적인
주식투자에 는 사실상 전혀 나서지 않고 있어 이들로 하여금
투자자문회사들의 자문을 받아 직 접 주식투자를 유도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증권업계는 직접적인 주식투자를 꺼리는 각종 기금.공제단체들로
하여금 「증시안정기금」에 출자토록 해 간접투자를 하도록 권유하고
있으나 이들은이 역시 자금운용의 경직성등을 이유로 내세워 회피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이들 기금.공제단체를 세제상
혜택까지 주어가며 신규 기관투자가로 지정한 이상 이같은 조치가 실효를
거둘수 있도록 사후 관리에 힘써 이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주식매입에
나설수 있게 해야 할 것이라고 지 적하고 있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