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태평양 ABC결성 예비회담 오는 9월 개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광업, 제조업, 건설업체들은 올해 임금인상률에 대해 대체로
적정한 것으로 자체평가하고 있으며 노조압력에 의한 요소는 극히
적었던 것으로 나 타났다.
*** 대기업들 긍정반응율 커 ***
1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6백50개 광업, 제조업,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 시한 올해 임금조정 동향에 따르면 올해 임금인상률에 대한
기업들의 자체평가는 적정이다 는 응답이 지난해의 37.3%에서 45.2%로 대폭
높아진 반면 다소 무리했 다 가 지난해의 47.9%에서 올해는 44%로 크게
낮아졌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는 적정이다 가 47%나 차지,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담을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기업이 임금인상률을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 것은 타기업의 인상률 이 42.5%로 가장 많았고 경영수지
상태 가 34.6%, 생계비 가 10.9%의 순으로 나타났다.
*** 중소기업과 대기업 임금인상이유 대조적 ***
임금인상으로 경영에 부담을 느끼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무리한
임금인상의 가 장 큰 이유로 62.7%가 종업원 확보 를 꼽아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반영했으며 대 기업들은 46.9%가 종업원 생계보장 을
임금인상의 가장 큰 이유로 들어 좋은 대 조를 보였다.
노조압력 때문이라는 응답은 지난해의 27.1%에 비해 10.4%로 크게
낮아졌 다.
임금인상 결정기구는 지난해와 같이 교섭단체에 의한 방법이 41.2%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단체교섭을 통한 임금교섭 관행이 정착되어가고
있음을 반영했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는 71%가 단체교섭에 의해 임금을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소기업은 28.4%에 머물렀다.
이같은 인건비 인상에 따른 부담을 흡수하기 위해 조사대상 업체의
35.1%가 기 계화나 자동화를, 24.4%는 품질고급화, 20.6%는 일반경비
지출억제, 11.4%는 신규채 용 억제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력간 임금격차도 감소추세 ***
한편 지난 5월말 현재 평균임금인상률은 9.3%로 전년동기의 19.3%의
절반 수준 을 밑돈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별로는 건설업이 13.1%로 가장
높았고 목재.가구 10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10%로 대기업의 7.9%에
비해 2.1%포인트가 더 높았 다.
학력별 초임 수준은 대졸신입사원의 월평균 임금이 41만1천원,
전문대가 34만4 천원, 고졸이 27만4천원, 중졸이하 생산직은 25만3천원으로
학력간 임금격차가 지난 해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한 것으로 자체평가하고 있으며 노조압력에 의한 요소는 극히
적었던 것으로 나 타났다.
*** 대기업들 긍정반응율 커 ***
1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6백50개 광업, 제조업,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 시한 올해 임금조정 동향에 따르면 올해 임금인상률에 대한
기업들의 자체평가는 적정이다 는 응답이 지난해의 37.3%에서 45.2%로 대폭
높아진 반면 다소 무리했 다 가 지난해의 47.9%에서 올해는 44%로 크게
낮아졌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는 적정이다 가 47%나 차지,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담을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기업이 임금인상률을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 것은 타기업의 인상률 이 42.5%로 가장 많았고 경영수지
상태 가 34.6%, 생계비 가 10.9%의 순으로 나타났다.
*** 중소기업과 대기업 임금인상이유 대조적 ***
임금인상으로 경영에 부담을 느끼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무리한
임금인상의 가 장 큰 이유로 62.7%가 종업원 확보 를 꼽아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반영했으며 대 기업들은 46.9%가 종업원 생계보장 을
임금인상의 가장 큰 이유로 들어 좋은 대 조를 보였다.
노조압력 때문이라는 응답은 지난해의 27.1%에 비해 10.4%로 크게
낮아졌 다.
임금인상 결정기구는 지난해와 같이 교섭단체에 의한 방법이 41.2%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단체교섭을 통한 임금교섭 관행이 정착되어가고
있음을 반영했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는 71%가 단체교섭에 의해 임금을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소기업은 28.4%에 머물렀다.
이같은 인건비 인상에 따른 부담을 흡수하기 위해 조사대상 업체의
35.1%가 기 계화나 자동화를, 24.4%는 품질고급화, 20.6%는 일반경비
지출억제, 11.4%는 신규채 용 억제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력간 임금격차도 감소추세 ***
한편 지난 5월말 현재 평균임금인상률은 9.3%로 전년동기의 19.3%의
절반 수준 을 밑돈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별로는 건설업이 13.1%로 가장
높았고 목재.가구 10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10%로 대기업의 7.9%에
비해 2.1%포인트가 더 높았 다.
학력별 초임 수준은 대졸신입사원의 월평균 임금이 41만1천원,
전문대가 34만4 천원, 고졸이 27만4천원, 중졸이하 생산직은 25만3천원으로
학력간 임금격차가 지난 해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