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미상환융자금 및 미수금 강제정리 방침을 최종 결정한
8일의 증권 사 사장단회의는 일부 중소형 회사들의 반대로 상당한 진통을
거듭.
중소형사들은 대형사와 달리 상주 투자자들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이들
악성계 좌를 일괄적으로 강제정리할 경우 고객들중 상당수가 떨어져 나가
영업에 큰 타격을 받을 것을 우려, 강제정리에 반대했다는 것.
증협회장단은 중소형사의 반발에 부딪치자 증권사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증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현단계에서 악성매물을 강제정리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설득, 결국 이들의 동의를 받아냈다고.
중소형 증권사들은 또 강제정리 대상에 포함되는 악성계좌 범위를
최대한 축소 하는 한편 유예기간을 최대한으로 늘려 투자자들의 반발을
무마해야 한다고 주장하 면서 이왕 강제정리 방침이 결정된 마당에 시간을
끄는 것은 오히려 증시회복에 마 이너스가 된다는 증협회장단의 방침에
맞서기도.
이처럼 강제정리 방침과 유예기간을 놓고 이견을 제기한 일부
중소형사의 반발 때문에 상오 7시에 시작된 사장단 회의는 당초 예정시간을
훨씬 넘겨 상오 11시에 가서야 가까스로 종결.
한편 증협 건물 1층 로비에서 청야농성중이던 투자자 50여명은
자신들의 항의에 도 불구, 증권사 사장단회의에서 강제정리방침이 끝내
확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강제정리 철폐 증권거래소 폐장 등의 구호를 외치며 주문전표,
증권안내책자 등을 마구 던지는 등 거센 시위를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