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사 입찰참여 5일부터 재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금까지 건당 145억원 이상의 정부공사에만 참여해 왔던
1군 (도급한도 3백억원이상) 소속의 58개 건설업체들은
오는 5일부터 건당 170억원 이상인 공사입찰에만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또 2군 )도급한도 120억-300억원) 의 68개사의 입찰참여
범위도 75억-145억원에서 100억-170억원으로 높아진다.
30일 조달청은 중소건설업체의 정부공사에 대한 수주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이같이 정부시설공사 제한 군편성 및
운용기준을 확정, 오는 5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조달청은 건당 10억원 이상의 공동시설공사에
응찰할 수 있는 638개 업체를 현5개군에서 6개군으로 늘려
편성하되 대기업인 1,2군 소속업체는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522개
업체를 3개군에서 4개군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3군 (도급한도 70억-120억원) 에는 60억-1백억원규모의
공사를 배정하고 4군 (도급한도 45억-70억원) 의 배정공사는
30억-60억원 규모로 제한키로 했다.
도급한도액이 20억-45억원인 5군은 20억-30억원, 신설된 6군
(도급한도 10억-20억원) 은 10억-20억원규모의 공사에 응찰 할 수
있게 됐다.
조달청은 또 해당공사입찰때 1군과 2군은 소속업체전부를
대상으로 경쟁입찰을 실시, 낙찰자를 선정하는 반면 3군이하
중소건설업체들은 군별로 40개사씩만 참여시켜
과당경쟁을 막기로 했다.
1군 (도급한도 3백억원이상) 소속의 58개 건설업체들은
오는 5일부터 건당 170억원 이상인 공사입찰에만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또 2군 )도급한도 120억-300억원) 의 68개사의 입찰참여
범위도 75억-145억원에서 100억-170억원으로 높아진다.
30일 조달청은 중소건설업체의 정부공사에 대한 수주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이같이 정부시설공사 제한 군편성 및
운용기준을 확정, 오는 5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조달청은 건당 10억원 이상의 공동시설공사에
응찰할 수 있는 638개 업체를 현5개군에서 6개군으로 늘려
편성하되 대기업인 1,2군 소속업체는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522개
업체를 3개군에서 4개군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3군 (도급한도 70억-120억원) 에는 60억-1백억원규모의
공사를 배정하고 4군 (도급한도 45억-70억원) 의 배정공사는
30억-60억원 규모로 제한키로 했다.
도급한도액이 20억-45억원인 5군은 20억-30억원, 신설된 6군
(도급한도 10억-20억원) 은 10억-20억원규모의 공사에 응찰 할 수
있게 됐다.
조달청은 또 해당공사입찰때 1군과 2군은 소속업체전부를
대상으로 경쟁입찰을 실시, 낙찰자를 선정하는 반면 3군이하
중소건설업체들은 군별로 40개사씩만 참여시켜
과당경쟁을 막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