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지난해 음악 수출 분야에서 미국, 영국, 캐나다에 이어 네 번째로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영어권 국가 중 가장 높은 순위다.2일 미국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분석 업체 루미네이트에 따르면 한국은 2024년 '루미네이트 수출 파워 스코어'(Luminate Export Power Score) 순위에서 4위에 이름을 올렸다.루미네이트가 지난달 도입한 '수출 파워 스코어'는 음악 수출 분야에서 특정 국가가 지닌 역량을 평가한 지표다. 국가별 최다 스트리밍 아티스트 순위와 특정 국가로부터 음악을 수입하는 국가의 수, 음악 수입국의 스트리밍 규모, 해외 청취자를 보유한 아티스트의 숫자 등을 고려해 산정한다.루미네이트는 "해외 시장에 진출한 아티스트의 수가 많고, 해외에서 좋은 성과를 내는 아티스트가 있으며, 세계 음악 시장 점유율이 높은 나라에 진출한 아티스트를 보유한 국가가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설명이다.한국에 이어 독일, 프랑스가 5위와 6위를 기록했고, 푸에르토리코, 호주, 스웨덴, 브라질 등이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한국 음악을 수입하는 국가들을 분석한 결과 제1수입국은 일본이었다. 대만이 2위, 인도네시아가 3위였다.일본에서는 지난해 가장 많은 스트리밍을 기록한 아티스트 상위 50팀 중 한국 아티스트는 9팀이었다. 대만에서는 스트리밍 상위 10팀 중 4팀이 한국 아티스트였고, 인도네시아 상위 50팀 중에는 3팀의 한국 아티스트가 이름을 올렸다. 이외에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총 12개 국가의 스트리밍 상위 50팀에 한국 아티스트가 진입했다.루미네이트는 특히 일본에서 K팝이 강세를 보이는 배경에 대해 "일본 밀레니얼 세대(1981년∼1996년 출생)와 Z세
국립발레단 무용수 조연재(30)가 발레단 내 최고 등급인 수석무용수가 됐다. 국립발레단은 지난달 31일 단원 승급 발표를 게시하며 이같이 밝혔다. 발레단의 무용수 단계는 코르드발레(군무)부터 시작해 드미 솔리스트, 솔리스트를 거쳐 최고 단계인 수석무용수까지 이어진다.조연재는 2018년 입단해 7년만에 수석무용수가 됐다. 수석무용수 직전 단계인 솔리스트로 승급한지는 1년만. 조연재는 중학생 때 학업으로 잠시 발레를 접었다가 다시 발레를 시작했다. 세종대학교 무용과를 졸업한 그는 입단한 해 '호두까기 인형' 주역인 마리로 발탁되면서 관객들의 눈도장을 찍었다. 이후 '해적','지젤', '라 바야데르', '돈키호테' 등 국립발레단의 대표 클래식 레퍼토리의 주역을 맡았고 드라마 발레 '인어공주'와 '고집쟁이 딸', 모던 발레 작품인 '스…(Ssss…)'와 '아티팩트Ⅱ'에서도 안정적인 기량을 보여줬다. 2022년에는 한국발레협회가 그해 최고의 발레리나에게 주는 프리마 발레리나상을 수상하면서 업계의 주목도 받았다.이날 국립발레단은 코르드발레 등급이었던 정은지(27)가 드미솔리스트로 승급한 소식도 전했다. 정은지는 2021년 입단해 '돈키호테','주얼스'의 작품에 출연했다. 뚜렷한 이목구비와 큰 키, 긴 팔다리 등 뛰어난 신체조건으로 지난해 가을 '라 바야데르'에서 군무진을 리드하는 역할을 맡으며 객석에 존재감을 드러냈다. 지난해 연말 '호두까기 인형'에서는 주인공 마리로도 무대에 섰다.이해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 내에서도 철회 촉구 목소리가 나왔다. 미국 철강노조(USW)는 이날 성명을 통해 "USW는 오랫동안 고장 난 무역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개혁을 요구해왔지만, 캐나다와 같은 주요 동맹국을 공격하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아니다"면서 관세 부과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USW는 "매년 약 1조3000억달러 상당의 제품이 캐나다, 미국 국경을 지나 140만개의 미국 일자리와 230만개의 캐나다 일자리를 지원한한다"며 "이러한 관세는 캐나다에만 피해를 주는 게 아니라 국경 양쪽의 산업 안정성을 위협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이어 "우리 노조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캐나다 관세에 대한 정책을 바꿔 장기적으로 노동자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는 무역 해법에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USW는 금속, 광산, 화학, 제지, 자동차 등 생산 산업에 종사하는 85만명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단체로 꼽힌다. 미국 석유화학업계 단체(AFPM)도 성명을 발표하고 "멕시코산 석유·에너지 제품에 부과한 관세 조치가 오래가지 않기를 바란다"며 "우리는 북미 이웃 국가들과 신속히 해결책을 마련해 소비자들이 그 영향을 느끼기 전에 원유, 정제 및 석유화학 제품이 관세 일정에서 제외되길 바란다"고 트럼프 대통령의 보편 관세 부과 철회를 촉구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25%, 중국산 제품에는 10%의 관세를 각각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관세 부과는 오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김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