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민영 TV 의 경영주체가 확정되었다.
민영이냐, 공영이냐를 놓고 언론계 학계에서 치열한 논쟁이 있었고 이어
재계에서도 지분참여의 열띤 경쟁이 벌어졌던 만큼 이번 경영주체의
선정이 사회의 깊은 관심을 끄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가 민영방송 신설이라는 방향을 설정하고 경영주체의 선정과정을
주도함에 따라 항간의 잡음도 처음부터 무성했다.
정부는 선정기준의 객관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결국 앞으로 정부가
새 민방운영에 대해서 얼마나 중립적이냐가 이런 선정과정의 문제까지
스스로 해명하게 할 것이다.
TV 민방의 탄생으로 우리 언론계는 방송구조 개편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속에서 언론도 경영이나 편집에서 새로운
위상을 모색하는 진통을 겪고 있거니와 이번 민방의 출현이 이런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하는 계기가 될 것은 틀림없다.
국민의 알권리 충족이란 언론의 사회적 책임의 원점에서 출발,
스스로 사회변화에 적응하고 또 그변화에 보다 바람직한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언론의 오늘의 책임은 더욱 무겁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새민방의 주주가 누가되었느냐의 문제는
오히려 민방 주체선정의 핵심이 아니다.
31개사의 주주가 새민방의 주인이 아니라 여전히 언론인이 주인이고
최종적으로는 국민이 주인이다.
최근 몇년 재계나 종교계나 새로운 매체를 경영하고 있거니와
중요한 것은 기업이나 종교의 논리에서 언론의 논리를 어떻게 분리해
내느냐 일 것이다.
지배주주로 확정된 태영측은 "새민방이 공정한 보도가 선행되는 방송,
전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는 전파 모체가 될것"을 다짐했다.
이런 의욕이 민주화시대를 맞아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큰 변혁을
요구하는 한국언론의 현실에서 어떻게 관철되어 갈지 우리는
주시코자 한다.
이번 민방경영의 주체선정과정을 보면서 느낀것은 그것이 마치
무슨 영리사업이나 이권처럼 다뤄지고, 그렇게 사회적으로도 인식
되고 있는 현실이 온당치가 않다는 것이다.
양대 TV의 독점이 호황과 맞물리면서 방만한 경영을 낳은 반면
질적으로 답보하고 있다는 것이 TV 매체를 둘러싼 현실이다.
새로운 민방의 출현은 이런 우리 방송구조에 적지않은 자극이 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그 자극이 반드시 좋은 자극제가 될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 수도권을 대상으로한 이 민방에 이어 지방방송국의 생겨나고
다시 케이블 TV 등이 출현하면서 광고시장이나 시정자확보등의 문제는
새로운 도전을 보낸 것이 분명하다.
특히 전파매체에 관한 기술발전과 다양화는 외국에서도 굴지의
대형 TV 방송국들을 궁지로 몰아넣고 있는 형편이다.
민방의 주체가 드러난 향후, 새민방은 정부 또는 기존관념에
끌려다니지 않는 참신한 비전을 경영과 제작에 두루 침투시켜
국민의 사랑을 차지하는 민주 민방이 되기를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