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주식공급물량억제를 위해 금융기관을 비롯한 대기업의 유상증자를
제한함에 따라 자본금 1백 50억원이만인 중/소형기업의 유상증자 비중이
크게 높아져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의 대기업 편중현상이 완화되고
있다.
1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7백 56억원을 포함, 올들어 11월말까지
유상증자 실적은 모두 2조 5천 3백 76억원 (1백 61건)이며 이중
중/소형기업의 유상증자분은 5천 67억원 (1백 6건)으로 전체의 20.0%를
차지하고 있다.
*** 작년동기엔 6.2% 불과 ***
이같은 중/소형 기업의 유상증자비중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실시된
9조 6천 6백 24억원 (2백 28건)의 유상증자중 중/소형기업분이
6천 10억원으로 전체의 6.2% 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해 크게 높아진
것이다.
이에 반해 자본금의 5백억원을 넘는 대기업의 유상증자액은 총 1조 3천
4백 15억원 (20건)으로 전체의 52.9%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중
이들이 6조 9천 9백 19억원 (46건)의 유상증자를 실시, 전체의
72.4%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해 절대금액은 물론 비중면에서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와함께 이기간중 주로 대형사로 이루어진 금융업의 유상증자비중이
지난해의 66% 에서 29.6%로 크게 낮아졌다.
*** 대기업 유상증자 억제등 원인 ***
이처럼 중/소형 기업의 유상증자비중이 높아진것은 <> 증권당국이 주식
공급물량을 제한하기 위해 자금조달규모가 큰 대기업의 유상증자를
제한한데다 <> 싯가할인율 확대로 유상증자 실권 위험이 줄어듦에
따라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형사들도 실권에 대한 큰 부담없이
유상증자를 실시할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