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산지구 용지입찰 과열로 투기 조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교부는 8일 교원임용고사 실시방침의 철회를 요구하면서 수업을
거부한 채 농성을 벌이고 있는 전국 14개 국립사범계(과)대학에 대해
가능한한 부족한 수업일수를 겨울 방학동안 보충해 한 학기 수업일수
16주를 채우도록 지시했다.
문교부는 그러나 겨울방학 보강 수업중에도 수업거부 사태가 계속될
경우 이를 교육법 시행령상의 ''교무형편상 부득이한 사유''로 인정,수업일
수 2주단축을 허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교부에 따르면 이날 현재 2학기수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대학은
충남대, 창원대, 부산수대등 3개대뿐이고 서울대등 14개대는 법정
수업일수(16주)에 2-8주 부 족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구체적인 대학별 수업부족 일수를 보면 서울대 2주<>한국교원대
4주 <>경북대.강원대 전북대.안동대 6주<>전남대.경상대.충북대.순천대
7주<>부산대.제주대.공주대.목포대 8주등이다.
또 이번 학기에 수업일 수가 부족해 보충수업을 받지 않을 경우
학점취득이 어려운 학생은 약 8천1백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거부한 채 농성을 벌이고 있는 전국 14개 국립사범계(과)대학에 대해
가능한한 부족한 수업일수를 겨울 방학동안 보충해 한 학기 수업일수
16주를 채우도록 지시했다.
문교부는 그러나 겨울방학 보강 수업중에도 수업거부 사태가 계속될
경우 이를 교육법 시행령상의 ''교무형편상 부득이한 사유''로 인정,수업일
수 2주단축을 허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교부에 따르면 이날 현재 2학기수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대학은
충남대, 창원대, 부산수대등 3개대뿐이고 서울대등 14개대는 법정
수업일수(16주)에 2-8주 부 족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구체적인 대학별 수업부족 일수를 보면 서울대 2주<>한국교원대
4주 <>경북대.강원대 전북대.안동대 6주<>전남대.경상대.충북대.순천대
7주<>부산대.제주대.공주대.목포대 8주등이다.
또 이번 학기에 수업일 수가 부족해 보충수업을 받지 않을 경우
학점취득이 어려운 학생은 약 8천1백명으로 추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