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기부진 계란값 속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류업계가 21일 병소주 등의 빈병값을 20-30원에서 35-50원으로
인상한 것에 대해 일부에서는 사실상 술값이 오른 것이 아니냐고 지적.
주류 제조회사들은 자원재활용 등의 측면에서 소비자에게 병에 담아
판매하는 소주, 맥주 등에 대해 2홉들이는 20원, 4홉들이는 30원의
병값(공병보증금)을 출고 때 부터 술값에 포함시켜 받았다가 나중에
빈병을 반환하면 이를 환불해 주고 있는 데 이번에 빈병값을 15-20원
인상한 것.
주류메이커들은 이와 관련, 빈병값이 워낙 싸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빈병회수에 무관심하고 이에 따라 자연을 훼손할 뿐 아니라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도 초래하기 때문에 지난 85년이래 동결됐던 공병보증금을
부득이 현실화하게 됐다고 설명.
이에 대해 많은 소비자와 업계 주변에서는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빈병을
반환하지 않는 현실을 감안할 때 결국 그만큼 술값이 오른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지적.
인상한 것에 대해 일부에서는 사실상 술값이 오른 것이 아니냐고 지적.
주류 제조회사들은 자원재활용 등의 측면에서 소비자에게 병에 담아
판매하는 소주, 맥주 등에 대해 2홉들이는 20원, 4홉들이는 30원의
병값(공병보증금)을 출고 때 부터 술값에 포함시켜 받았다가 나중에
빈병을 반환하면 이를 환불해 주고 있는 데 이번에 빈병값을 15-20원
인상한 것.
주류메이커들은 이와 관련, 빈병값이 워낙 싸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빈병회수에 무관심하고 이에 따라 자연을 훼손할 뿐 아니라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도 초래하기 때문에 지난 85년이래 동결됐던 공병보증금을
부득이 현실화하게 됐다고 설명.
이에 대해 많은 소비자와 업계 주변에서는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빈병을
반환하지 않는 현실을 감안할 때 결국 그만큼 술값이 오른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