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상승,인력난,수익성 높은 서비스업종으로의 전환 등으로 제조업체
공동화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사람을 구하지
못해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엄청나게 드는 비용 때문에 자동화를 추진하지 못하는 업체들의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여성인력과 고령 노동력 등 유휴노동력의 활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8일 경총이 국내 1백69개 제조업체를 상대로 조사한 제조업 고용실태와
인력난 대처방안 에 따르면 <>산업시설의 해외이전 <>근로자들의 서비스
업종으로의 전직 <>기업가들의 제조업포기등의 원인으로 제조업공동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가 68개사로 전체의 4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화학.고무가 73.3%로 공동화 어려움을 가장 심하게 겪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전기.전자 53.3%,1차금속.기계 42.4%, 섬유
33.3%, 자동차 및 부품관련산업 25.0% 등이었다.
제조업공동화의 이유로는 임금상승이 4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은 인력난(21%),서비스업종이 제조업보다 수익률이 높은 점(10%),
노사분규(9.9%) 등의 순이었다.
기업들은 또 최근의 심한 인력난 때문에 자동화에 대한 관심을 크게
보였는데 자동화를 이미 추진하고 있거나 계획중인 업체가 81%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력난 해소를 위해 최근 거론되고 있는 해외인력 수입문제에 대해서는
17%만이 찬성,대부분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으나 인건비 비중이 높고
인력난이 극심한 중소 기업과 섬유산업은 해외인력 수입을 적극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2-3년 후의 필요인력에 관한 질문에서 대기업은 이공계대학
졸업자의 수요가 가장 많을 것으로 답한 반면 중소기업들은 공고졸업자에
대한 수요가 가장 많을 것으로 응답했다.
이 보고서는 자동화가 추진된 업체는 기능직 인력이 남아돌고 있으나
자동화를 추진하지 못한 섬유,봉제,전자분야 등의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강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백20만명으로
추산되는 유휴노동력인 여성인력과 고령노동력을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여성노동력 활용을 위해 탁아소시설을 확충하고 고령근로자의
최저임금예외 적용제도를 도입하는 한편 선진국에서 성행되고 있는
인력파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