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은 이번 달 2차전지주 주가가 반등할 것으로 봤다. 중국 춘절 이후 리튬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테슬라의 새로운 모델Y 사전 계약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3월 중 유럽연합(EU)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결정도 내려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전기구동 차량(xEV) 수요와 정책 불확실성이 커 주가 상승세가 지속되긴 어렵다고 내다봤다.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보고서를 내고 "2차전지주 주가는 1월 초 반등한 뒤 재차 반락했다. 월초 반등을 이끌었던 주요인은 순환매 및 모델Y 신모델에 대한 사전 계약 호조에 기반한다. 이 요인들은 1분기까지 좋은 영향을 줄 전망"이라고 했다.유럽연합의 보조금도 3월 내 발표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자동차 업계 핵심 인사와 간담회를 가졌고, 3월 5일 보조금 지급이 포함된 액션 플랜이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했다. 작년 기준 국내 셀 업체의 유럽 판매 비중은 LG에너지솔루션 55%, 삼성SDI 42%, SK온 33%로 추정했다.선호 종목으로는 LG에너지솔루션과 에코프로비엠을 제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경쟁사 대비 수주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이유에서다. 에코프로비엠은 유가증권시장 이전 상장 후 우호적인 수급이 유입될 것으로 봤다.다만 2월 단기 반등 후 2차전지 주가는 박스권에 머무를 것으로 봤다. 주 연구원은 "모델Y 신모델의 판매량은 상반기까지 견조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하반기부터 모델Q(가칭) 판매와 함께 수요가 다소 줄어들 전망"이라며 "모델Q에 리튬·인산철(LFP)이 탑재될 것으로 추정돼 국내 2차전지 업체에는 부담"이라고 했다.도널드 트럼프 미
지난해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가 2003년 이후 21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해 통계 작성 이래 최장 기록이다.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지표인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대비 2.2% 감소했다. 2003년(-3.2%) 이후 가장 크게 감소했다. 2022년(-0.3%)과 2023년(-1.4%)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장 기록"이라고 설명했다.품목별로 보면 승용차 등 내구재(-3.1%)와 음식료품 같은 비내구재(-1.4%), 의복을 포함한 준내구재(-3.7%) 모두 1년 전보다 판매가 줄었다.분기별로 봐도 작년 1분기(-2.1%)와 2분기(-2.9%), 3분기(-1.9%), 4분기(-2.1%) 모두 전년 같은 분기 대비 판매가 줄어. 전 분기 대비로도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작년 전(全) 산업생산은 1년 전보다 1.7% 늘었다. 제조업 등 광공업 생산은 전기장비와 1차 금속에서 줄었지만, 반도체와 의약품이 늘면서 4.1%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 등에서 감소했지만 운수·창고, 금융·보험에서 늘면서 1.4% 늘었다.설비투자는 1년 전보다 4.1% 증가했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2.9%) 및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7.8%)에서 모두 투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기성은 토목(1.8%)에서 늘었지만, 건축(-6.9%)에서 공사실적이 크게 줄면서 전년 대비 4.9% 감소했다.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