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만 전쟁은 벌써 5일째를 맞고있다.
이라크의 대이스라엘 미사일 반격이 전쟁의 성격과 양상에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을 배체하지 못하게 하고 있으나 개전이래의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유엔다국적군의 압도적 우세를 뒤엎을 해프닝은
없으리라는 것이 전쟁의 대세인것 같다.
물론 그것이 빨리 되느냐, 또는 좀더 오래 끌게 되는냐하는 문제는
지금 확실하게 말할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전황의 추이만을 보면서 나날을 들뜬 상태로
보낼수는 없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하다고 느겨지는 것은 정부나 민간할것 없이
모두가 냉정한 자세로 돌아가 각자 맡은바를 평상시와 다름없이
수행해 가는 업무처리페이스의 회복이다.
세계와 우리생활에 미치는 영향때문에 그동안 이전쟁은 모든
관심사가 돼왔다.
중략....
페르시아만전쟁에 대해 우리가 해야 할일을 각자가 다시 재점검할
필요를 느낀다.
이미 본난을 통해 두어번 냉정한 자세로 침착한 대응책을 마련
하여 이를 실천하는것이 바람직 하다는 것을 강조한바 있다.
대응책의 으뜸은 전쟁이 가져올지 모를 유류난을 해결하는
일이다.
기름 도입량의 감소와 국제유가의 변동이 예상되는데 정부는 유류의
수급을 될수 있는한 원활하게 하는 효율적인계획을 짜고 민간은
기름의 절약에 자발적으로 협력하는 것을 일상화시켜야 한다.
유류난대책으로 정부가 발표한 차량의 10부제 운행, 유류제한판매
조치에 국민들이 기꺼이 협력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수 없다.
정부는 경제운용계획을 보다더 현실적인 시각에서 다시 진단하며
일과성인 외부여건의 변동에 구애됨이 없이 일관성있는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를 추진할 의지를 민간기업들이 확실하게 믿도록 해주어야
한다.
경제를 이끌 주체로서의 기업은 페만전쟁에 대응하여 그 경영전략,
투자계획을 재조정해야할 입장에 있으며 그런 입장에서 정부의
계획과 정책의 향방은 기업경영에 중대한 가이드 구실을 제공하는것이
된다고 할수 있다.
기업뿐만아니라 일반가정도 우리나라가 대단히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사회구성원의 하나로 어떻게 하는것이
어려운 상황을 타개해 나가는것이 되는가하는 문제의식을 갖는
분위기의 조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