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에도 건설경기가 호조를 보여 시멘트와 철근 등 일부
건자재의 국내 생산량으로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부족분에
대해서는 할당관세를 적용, 수입으로 충당토록 할 계획이다.
또 5-6월 성수기가 되면 일시적인 파동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비, 정부
공사와 일반건설공사의 착공을 분산시키도록 유도하고 호화사치성 상업용
건축허가를 제한하며 공업용이나 주택용으로 허가를 받아 공사를 마친 후
상업용으로 용도를 변경하는 일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25일 상공부가 밝힌 올해 건자재 수급대책에 따르면 올해 시멘트는 국내
수요가 작년 보다 20.7% 가량 늘어난 4천1백만t으로 추정되지만 생산은
4천만t으로 전망돼 수급균형을 이루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거래선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수출을 감안, 3백만t 정도를 수입, 시멘트파동에 대처할
계획이다.
철근의 경우 올해 설비보완과 수입반제품의 사용으로 국내생산량이 작년
보다 6% 늘어 연간 4백97만3천t 정도로 예상되고 현재 재고 33만5천t을
감안하면 공급이 5백30만8천t 정도될 전망이어서 작년 보다 15%정도 늘어난
국내수요 5백76만5천t에 비해 공급물량이 다소 부족하다고 보고 60만t
정도를 수입, 부족물량으로 야기될 공급애로를 사전에 막을 예정이다.
건자재의 경우 위생도기는 국내 생산능력(72만조)을 완전가동하고
부족분은 수입으로 충당, 수요 1백8만조보다 많은 1백16만8천조를 공급하고
판유리는 생산능력 (1천7백10만상자)을 완전가동, 부족분은 수입해 수요
1천6백80만상자 보다 많은 1천9백만상자를 공급할 예정이며 콘크리트파일은
국내공급 2백15만본 수요 2백5만본, 타일은 국내공급 1천7백만평 수요
1천6백60만평으로 각각 수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