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수서지구 특별분양을 결정한 지난달 19일 대책회의에
청와대 장병조문화체육담당비서관이 참석했을뿐 아니라 지난해
국회청원심사과정에서도 청와대측이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져 이번 사건에 처음부터 청와대측이 관여된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오위원장 "선처당부하는 전화있었다" ***
6일 국회 건설위관계자들에 따르면 건설위가 수서지구 주택조합의
청원을 작년 12월11일 하룻만에 청원심사소위(위원장 박재홍) 심사를
거쳐 전체회의에서 전격 처리했을때 일부 민자당 의원들이 전체회의에서
문제점을 따지려했으나 오용운건설위원장이 회의에 앞선 간담회에서
<선처를 당부하는 청와대 모수석비서관의 전화도 있었으니 그대로
처리토록 해달라>고 요청하는 바람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사건이 정치사회적 쟁점으로 증폭될 기미를 보이자 청와대
행정비서실의 장비서관은 물론 청와대의 정무비서관등이 국회건설위의
소속의원들에게 <더이상 파문이 확산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또다른 수석비서관은 이번 사건으로 큰 파문이 일게된후
<정태수 한보그룹회장이 불모지나 다름없는 하키협회장을 맡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딴 공로등을 생각해 주어야할 것>이라고 정회장을 두둔하는
발언을 한것으로 전해졌다.
국회관계자들은 서울시가 당초 특별분양 불가방침을 번복한 이유를
국회의 청원 의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상 국회청원은 전혀
행정부를 기속하는 법적 강제성이 없는 점을 상기시키고 "이번 사건은
한보의 정회장이 하키협회장을 맡으면서 정계의 핵심인사들과 두루 교분을
쌓은것을 발판으로 청와대를 비롯한 행정기관에 강력한 로비활동을
벌이는 동시에 집단민원을 발생시킨뒤 이를 실현시키는 방편으로 정당과
국회를 둘러리로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관계자들은 장비서관이 체육문화담당 비서관임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19일 박세직 서울시장 주재로 열린 수서지구대책회의에 참석, 서울시가
특별공급쪽으로 결론을 내리도록 은근히 유도하는 발언을 한 사실을
지적하며 "청와대의 관행상 도대체 서울시의 민원업무 대책회의에 담당도
아닌 비서관이 참석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되는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