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항만청과 해운업계가 지금까지 국내에서 건조해온 국적취득
조건부나용선(BBC)을 해외에서 건조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조선업계가 이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년도 해항청의 선박확보계획은
1백만t(G/T)이상으로 이 가운데 근해 소형선대의 대체선박을 산업은행의
계획조선 자금으로 건조하고 나머지 광탄선을 비롯 액화천연가스(LNG),
풀컨테이너선등은 외국에서 자금을 들여와 건조하는 국취부나용선 제도를
활용할 계획이다.
해항청과 해운업계는 특히 지금까지 외국에서 자금을 들여와 국내에서
건조하는 국취부나용선의 경우 국내 조선소들이 높은 선가를 제시해
해운회사들이 불리한 상태에서 계약을 해 왔는데다 재무부가
국취부나용선에 대해 국내통화팽창을 이유로 물량을 제한해 적기에 선박을
확보하지 못한 점을 들어 국취부나용선을 해외에서 건조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이 해항청과 해운업계가 아직까지 최종 결정하지는 않았으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건조하던 국취부나용선을 해외에 발주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조선업계는 가득이나 걸프사태이후 수주
비상에 걸린 조선업계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해운회사들이 건조하려는 광탄선을 비롯
풀컨선등의 건조기술에서 국내 조선업계가 세계 정상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도 외국에서 이를 건조하려는 것은 국내 해운 및 조선업계의
대외의존도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