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소비자물가 13% 상승 전망...제일경제연구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우리나라 경제의 실질성장률은 지난해의 9.2%에서 8%로
둔화되는 반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9.4%에서 13%로 치솟는등 경제여건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23일 제일경제연구소가 내놓은 "최근 경제동향및 향후 전망"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에는 지난해의 높은 물가상승에 따른 인플레
기대심리가 경제전반에 파급돼 있는데다 수요와 공급측면 모두 물가상승
압박요인이 많아 소비자물가는 13%, 도매물가는 11%의 상승률을 각각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의 소비자 및 도매물가 상승률 9.4%와 7.4%에 비해서는
물론 정부와 한은,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이 추정한 올해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8-9.5%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으로 이 전망이 들어맞을 경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 81년의 21.6% 이래 만 10년만에 처음으로
"두자리시대"를 맞게 되는 셈이다.
물가상승률이 이처럼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배경으로는 지난 89년
이래 경제성장 속도에 비해 통화가 지나치게 많이 증발됨에 따라
지난해부터 그 파급효과가 물가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도 금년 예산이
팽창예산으로 짜여져 수요측면의 상승요인을 가중시키고 있는 점이 가장
큰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비용측면에서도 <>환율절하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지난해의 고물가에 대한 소득보상심리의 확대에 따른 높은 임금인상률
<>부동산가격 급등 <>시내버스료등 공공요금과 개인서비스요금 인상의
파급효과 등의 물가상승 압박요인이 상승작용을 빚을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올해에는 세계경제가 저성장 국면을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국내적으로는 건설투자와 민간소비의 증가세 둔화 등에 따른
내수부진으로 국민총생산(GNP) 실질성장률이 8%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이는 정부와 한은, KDI의 전망치인 7-7.4%보다는 다소 높은
것으로 걸프 전쟁의 조기 종전으로 유가와 외환시세가 안정돼 수출여건이
회복되고 국내 기업들의 중동복구사업 참여 등으로 제조업생산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민간소비는 임금상승세의 둔화와 보유 유가증권의 가치하락,
과소비억제 분위기 확산등의 영향으로 증가율이 90년의 10%에서 8.5%로
낮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따라 정부소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올해의
총소비증가율은 지난해의 9.6%에서 8.6%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둔화되는 반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9.4%에서 13%로 치솟는등 경제여건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23일 제일경제연구소가 내놓은 "최근 경제동향및 향후 전망"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에는 지난해의 높은 물가상승에 따른 인플레
기대심리가 경제전반에 파급돼 있는데다 수요와 공급측면 모두 물가상승
압박요인이 많아 소비자물가는 13%, 도매물가는 11%의 상승률을 각각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의 소비자 및 도매물가 상승률 9.4%와 7.4%에 비해서는
물론 정부와 한은,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이 추정한 올해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8-9.5%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으로 이 전망이 들어맞을 경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 81년의 21.6% 이래 만 10년만에 처음으로
"두자리시대"를 맞게 되는 셈이다.
물가상승률이 이처럼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배경으로는 지난 89년
이래 경제성장 속도에 비해 통화가 지나치게 많이 증발됨에 따라
지난해부터 그 파급효과가 물가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도 금년 예산이
팽창예산으로 짜여져 수요측면의 상승요인을 가중시키고 있는 점이 가장
큰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비용측면에서도 <>환율절하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지난해의 고물가에 대한 소득보상심리의 확대에 따른 높은 임금인상률
<>부동산가격 급등 <>시내버스료등 공공요금과 개인서비스요금 인상의
파급효과 등의 물가상승 압박요인이 상승작용을 빚을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올해에는 세계경제가 저성장 국면을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국내적으로는 건설투자와 민간소비의 증가세 둔화 등에 따른
내수부진으로 국민총생산(GNP) 실질성장률이 8%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이는 정부와 한은, KDI의 전망치인 7-7.4%보다는 다소 높은
것으로 걸프 전쟁의 조기 종전으로 유가와 외환시세가 안정돼 수출여건이
회복되고 국내 기업들의 중동복구사업 참여 등으로 제조업생산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민간소비는 임금상승세의 둔화와 보유 유가증권의 가치하락,
과소비억제 분위기 확산등의 영향으로 증가율이 90년의 10%에서 8.5%로
낮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따라 정부소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올해의
총소비증가율은 지난해의 9.6%에서 8.6%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