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에는 기업공개가 재개됨에 따라 주식공급 물량이 급증,
증권당국이 설정한 월간 공급한도를 훨씬 넘어선 2천8백66억4천만원에
이를 전망이어서 증권정책이 일관성을 잃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 내달 2천866억 달해 월간한도 크게 상회 ***
2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내달중 증시에 새로 공급되는 주식물량은
유상증자 (청약일 기준)가 삼성전자를 포함한 12개사에 2천1백33억원
<>기업공개가 호남석유화학 1개사에 7백33억4천만원등 모두 2천8백66억
4천만원에 달해 증권당국이 연초에 책정한 월간 공급한도 2천억원을
크게 넘어서고 있다.
또 이같은 주식공급물량은 이달의 5백42억원에 비해 무려 5.29배로
늘어난 것으로서 증권당국의 주식공급 억제방안이 시행된 작년 1월이후
신규 주식공급이 매월 감소해오다 이번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서게
됨에 따라 투자자들에게 증시침체가 계속되고 있는데도 증권당국이
물량공급 억제방침에서 후퇴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불러일으
키고 있다.
더욱이 오는 5월에는 업종전환을 추진중인 단자사들이 은행 또는
증권사로의 전업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대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할
계획이어서 주식공급물량이 급증, 수급불균형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돼
증권당국의 주식공급 억제방침은 이미 일관성을 상실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증시관계자들은 주식공급 억제방침으로 중소기업과 제조업은
유상증자의 길이 막혀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데도 증권당국이 일부
대기업과 금융기관에는 특혜에 가까울 정도로 기업공개와 유상증자를
허용, 수급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증시정책의 형평성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