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공해문제로 말썽을 빚고 있는 원진레이온 도농공장의 처리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곧 관계부처 회의를 소집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문제와 관련, 현재 재무부와 상공부가 현저하게 다른 입장을
보여 이들 두부처의 입장이 정리돼야 처리문제가 결론날 것 같다.
29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상공부는 원진레이온 생산량으로 국내
비스코스 레이온의 자급률이 30%에 불과한 점을 감안, 어떤 형식으로도
생산시설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이를 위해 현재의 도농공장을 이전,
새 생산시설을 갖추기 위해 도농공장을 수요업체인 화섬직물업계에
수의계약형식으로 공동인수시키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상공부의 이러한 입장은 현 도농공장의 부지가 15만1천평에 이르는 큰
땅인데다 이곳에 아파트를 지어 분양할 경우 엄청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 자금으로 새로운 비스코스 레이온 생산시설을 다른 곳에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재무부는 현행 정부투자기관 관련 회계법이 수의계약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또 도농공장을 화섬직물업계에 공동으로 수의계약형식으로 넘길 경우
특혜시비에 휘말릴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재의 도농공장은 인근 땅값이 최소한 1백만원 이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아파트를 지을 경우 평당가격이 더 올라 특혜시비는 당연히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