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명지대생 강경대군 구타사망사건의 파장이 계속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일요일인 28일 고위대책회의를 가진데 이어 29일 상오 종합청사총리
집무실에서 노재봉국무총리주재로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대국민 사과문을
내는등 파문의 조기진화에 부심.
삼청동 회의실에서 28일 상오 청와대와 정부관련부처의 고위관계자들이
참석한 회의에서는 이번 사건에 대한 여론 동향을 검토하고 사건의
재발방지를 위한 내무부측 대책과 교육부의 향후 학원대책등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청와대측은 노총리의 대국민 사과담화 발표를
요청해 그렇게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는 후문.
그러나 삼청동회의후 이 회의에 불참했던 심대평총리행정조정실장이
청와대, 내무부등의 관계자들과 다시 협의한 끝에 총리의 대국민 사과문은
여론동향등을 감안할때 현시점에서 부적절하고 29일의 대책회의에서
노총리의 공식사과문 발표보다는 회의석상에서의 유감표명으로 대국민
사과를 대체키로 수정했으나 막상 회의가 끝난 후 최창윤공보처장관은
노총리의 발언내용을 "대국민사과문으로 해도 좋다"고 말해 형식을 놓고
정부관계자들이 잠시 혼선.
이같은 혼선에 대해 총리실의 한 관계자는 "야당이 내각총사퇴와
대통령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마당에 총리의 사과문이 여론에 어떻게
비쳐질지를 우려한 결과"라며 "총리가 정부차원에서 사과를 한만큼
대국민사과는 일단락됐다고 봐야하지 않겠느냐"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