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지대생 강경대군 치사사건에 대한 재야.학생들의 규탄시위가 지난
4일의 범국민결의대회를 고비로 당분간 소강국면에 접어들 전망이다.
강군사건 대책회의는 강군 사망과 학생들의 잇따른 분신자살사건으로
조성된 대정부 투쟁열기를 오는 9일의 반민자당 투쟁과 5.18기념투쟁으로
연계시킨다는 방침 아래 강군의 장례일 조기결정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는 규탄시위의 열기가 강군 사망 다음날인 지난 4월27일의 연세대
연합집회, 노동절의 노학연대투쟁, 지난 4일의 범국민결의대회 이후 민자당
창당기념일인 오는 9일까지 상당히 가라 앉을수 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경찰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지난달 27일, 5월1일과 4일에 4천-2만명이
규탄집회및 시위에 가담한 반면 다른 날들은 시위 참가자가 3천명이
채못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 대책횡의, 과격자제 여론따라 홍보선 전환 *********
대책회의는 이에따라 정부 당국의 조기수습 노력을 분쇄한다는 자체
전략과 분신자살등 학생들의 과격행동을 자제하도록 촉구하는 여론의
동향등을 감안, 시민들의 호응을 얻기 위한 가두홍보전에 당분간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 전대협도 연합집회 지양 학교별 가두계획 *********
또한 전대협도 오는 9일 이전까지는 대규모 연합집회를 지양, 강군사건
평가토론회등을 갖고 각 학교주변에서 유인물을 집단살포하는등 각
학교별로 가두투쟁에 나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한편 강군의 장례일정과 관련, 대책회의는 12-18일을 주장하는
전대협과 유족의 입장등을 감안, 강군의 장례일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