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걸프전쟁이후 기름오염사고등 해양오염방지노력이 국제적인
블록화현상을 보임에 따라 동북아시아지역의 해양보전을 위해 북한을 비롯
일본, 소련, 중국등과 다각적인 협력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환경처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역내국가들의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21-22일 양일간 싱가포르에서 제2차
APEC(아태경제협력회의) 해양전문가회의가 열리는 것과 관련해 14일
이같이 밝혔다.
APEC는 지난해 7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각료회의에서 해양환경보전등
10개분야를 APEC 우선협력사업으로 선정하고 11월에는 캐나다에서 제1차
해양환경전문가회의를 가졌는데 북한, 소련, 중국은 APEC의 비회원국이다.
환경처는 또 12개회원국이 참가하는 이번 APEC전문가회의를 계기로
해양보전을 위한 미, 일, 캐나다등 선진국의 해양오염방제기술이전과
육상오염물질의 해양유입을 줄이기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설치기술교환을
추진키로 했다.
이번 전문가회의에서는 해양환경보전과 육상오염방지를 위해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배출규제 <>유해물질의 해상운송규제
<>해양쓰레기처리등 3개분야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