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내 2대 공화국인 러시아 공화국과 우크라이나 공화국은 29일
연방정부를 제쳐둔 채 향후의 경제 및 군사문제에 관한 임시협정을
체결하고 각종 정책을 공동으로 조정하는 한편 서로에 대해 영토적
주장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이들 두 공화국은 우크라이나공화국 수도 키에프에서 28일 저녁부터
이날 새벽 까지 계속된 긴급회의를 마친 뒤 공동성명을 통해 이같이
발표하면서 소연방의 해체 를 막기 위해 공동행동을 취하고 현행국경도
그대로 인정키로 약속했다.
두 공화국은 또 군대를 개혁하고 집단안보 체제를 창설하며 군사문제에
있어 일 방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알렉산데르 루츠코이 러시아 공화국 부통령과 레오니드 크라브추크
우크라이나 공화국 대통령이 서명한 공동성명은 "소련의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새로운 정치적 상황이 대두돼 민주변혁을 가속화하고
공화국들의 주권을 최대한으로 실현할 가능성이 열렸다"고 지적하고
"현재와 같은 과도기에서는 `전 소련연방''내 이해 당 사 공화국들간에
임시협정을 맺는 것이 편리하다"고 주장했다.
전소련 연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체결된 협정은 그러나 크렘린과 최근 급속한 권력약화를 겪고
있는 미하일 고르바초프 연방 대통령이 앞으로 어떤 중요한 역할을
맡을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관측통들은 이번 회의의
주된 소집 이유였던 영토문제도 명쾌히 해결되지 않은채 넘어가 또다시
문제점으로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러시아 공화국과 우크라이나 공화국은 소련의 천연자원의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 으며 인구도 전체 소련인구 가운데 65%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은 이날 연방해체를 저지시키기 위해
우크라이나공화국에 대표단을 파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