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금리자유화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에 대한 금리의 차등화
기준을 종래의 기업체종합평점에서 기여도중심으로 전환시키면서
정책자금을 제외한 모든 대출금리를 1-3%포인트 인상하고 있다.
또 일부 은행에서는 과거에 대출기간을 연장해주었던 일반대출 금리를
소급인상하여 최고 15%까지 받기로 함에 따라 기업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3일 금융계에 따르면 서울신탁은행은 최근 금리의 차등적용기준을
기업들의 은행기여도 중심으로 전환시키면서 기업들에 따라 최고
3%포인트까지 금리를 올려받고 있다.
S기업의 한 자금담당 관계자는 서울신탁은행측이 은행의 방침에 따라
2일부터 모든 대출금리를 과목에 관계없이 2%포인트 인상.적용하겠다는
통보를 해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 회사는 당좌대출금리는 물론 일반대출금리에 대해서도
지금까지는 연 10.5%를 부담했으나 앞으로는 12.5%를 지급하게 됐다.
신탁은행은 이 기업 뿐만 아니라 다른 거래기업에도 이같은 금리인상을
통보했으며 업체에 따라서는 최고 3%포인트까지 올려받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 자금담당 관계자들은 은행들이 기업체종합평점 대신 외환수수료,
예금실적 등 거래실적을 중심으로 한 기여도에 따라 금리를 적용하면
기업들의 대부분이 현재보다 높은 금리를 부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신탁은행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은행들이 금리를 산정할 때 종합평점
대신 기여도를 적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추세라면서 그러나 일부 기업들에
적용하는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규제금리인 연 13%이상은 받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조달금리가 연 15%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에 적용하는
금리를 현수준으로 묶어둔다면 은행만이 손해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금리적용방식은 서울신탁은행이외에도 조흥.상업.제일.한일은행
등 대형 시중은행들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기업들에
직접 적용하지는 않고 있는 상태이다.
서울신탁은행은 이밖에도 과거에 대환을 실시하여 대출기간을 연장했던
일반대출 금리도 1년연장에 0.5%포인트씩 가산, 2일부터 최고 15%까지
올려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은 은행측이 이같이 과거에 연장했던 대출금리를 상향조정하는
것은 은행측의 수익만을 고려한 채 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을 감안하지
않은 처사라면서 반발하고 있다.
한편 지방은행을 포함한 일부 은행들은 또 기업발행 어음을 담보로 한
신탁대출의 경우 종래의 15.5%에서 최고 18-19%까지 올려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 자금담당 관계자들은 은행들이 아직 금리자유화가 시행되지 않는
단계에서 이처럼 일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