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교육용 컴퓨터의 덤핑낙찰로 물의를 빚었던 정부가 최근 행정
전산망용 레이저빔프린터에 대한 입찰에서도 일본제품을 도입해
덤핑입찰에 나선 업체들을 공급업체로 선정, 국산화에 성공한
국내제조업체들의 심한 반발을 사고있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달 27일 실시한 올해분
행정전산망용 레이저 빔프린터 입찰에서 시중가격의 30%선을 제시한
코리아제록스, 삼성물산, 삼보컴퓨터 , 제일정밀 등 4개 업체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기종별 낙찰가격은 시중가격이 3백50만-3백80만원대인 B4용지
사용기종은 코리아제록스가 1백10만원, 삼성물산이 1백31만원이었으며
보급형인 A4용지용은 삼보가 86만원, 삼성물산이 56만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낙찰업체들 가운데 코리아제록스는 후지제록스사, 삼성물산은
캐논사, 삼보컴퓨터는 샤프사 등 일본업체들의 제품을 도입해 입찰에
응했던 것으로 밝혀져 첨단제품의 국산화를 유도해 온 정부가 오히려
국내업계의 국산화노력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보급단계로 수입선다변화품목에서도 제외되어 있는
레이저빔프린터는 국내업체 가운데 금성사는 지난 89년에, 삼성전자는
지난 6월에 국산화를 완료했으며 현대전자도 거의 완료단계에 있다.
업계관계자들은 기술자립을 위한 첨단제품의 국산화를 강조해 온
정부가 국내업체들이 업체당 평균 60억-70억원의 막대한 개발비를 들여
국산화에 성공한 제품을 외면하고 일본제품을 들여와 덤핑입찰에 나선
업체들을 공급업체로 선정한 것은 오히려 첨단제품의 외국의존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빚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지난해 교육용 컴퓨터의 덤핑입찰로 국내 컴퓨터업체들이
최근까지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결과적으로 또다시
국내업체들의 출혈경쟁을 유도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레이저빔프린터의 국내시장 규모는 행정전산망용 5천대를 포함해
올해 1만5천대에 이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