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 소련, 중국 3국이 만나는 두만강지역이 유엔 산하
국제기구가 관리하는 동북아 경제특구로 운용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다음달 중순 평양에서 열릴 예정인 정부차원의 이해당사국회의에
우리정부의 고위관계자를 파견, 두만강개발에 적극 참여할 방침이다.
12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동북아개발의 핵심사업으로 두만강개발사업을
추진중인 유엔개발계획(UNDP)은 지난달 말 미하와이 주립대 동서문화센터와
중국의 아태연구소, 길림성 과학기술위원회의 공동주최로 중국 장춘에서
열린 "제2회 동북아시아경제 및 기술발전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두만강의
개발방식을 놓고 북한, 소련, 중국 등 최대 이해당사국들의 견해차가
좁혀지지않자 이를 해결할 새로운 방안을 마련, 평양회의에서 제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가 미리 입수한 이 새 방안은 두만강을 중심으로 서로 맞붙어
있는 북한, 소련 및 중국의 일정지역을 특구로 지정, 이 지역을 유엔이
지정하거나 새로 설립하는 국제기구가 맡아 관리토록 한다는 것이다.
이 국제기구는 특구를 각국의 투자업체에 홍콩식의 조차방식으로
공급하고 수익의 일정부분을 받아 이를 토지제공자인 북한, 소련, 중국
3국과 공동시설건설에 투자한 국가에 적정비율로 배분하는 운영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UNDP관계자는 중국측으로부터는 이미 이같은 방식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냈으며 지난주 북한과 소련을 방문, 이같은 방식에 대한
설득작업을 폈다.
장춘회의에서 중국측은 북한의 웅기(현 북한지명으로는 선봉), 중국의
경신, 소련의 포시에트 등을 연결하는 면적 1천평방 의 소삼각지역을
자유경제구로 지정해 개발하자는 안을 내놓았으나 북한과 소련측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여 UNDP는 새로운 국제기구관리의 새로운 방안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7월 몽고 울란바토르에서 열렸던 두만강유역개발을 위한
회의에서 북한이 북한측 두만강개발에 어떤 나라도 참여할수 있다고 언급,
한국에도 문을 개방하고 있는데다 유엔의 새로운 개발방식이
이해당사국에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많아 평양회의에는 차관보 및 국장급의
정부 관계자를 2-3명 보내 개발참여를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회의는 10월18일경부터 3-6일의 일정으로 열릴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MAC(Meeting of Government Aid Coordination, 정부간
조정회의)로 약칭되는 이회합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북한, 중국, 몽고,
소련 등이 참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