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대통령은 4일 "북한이 핵무기개발을 강행한다면 북한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조처에까지 이를수도 있을 것"이라며 "북한은 불행한
사태에 이르기 전에 핵안전협정체결에 응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노대통령은 이날 창간 45주년을 맞은 경향신문과의 특별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북한이 핵사찰조차 거부할 정도로 군사적 모험주의를
버리지 않고 있어 현실을 무시한 조치는 군사적 위협을 자초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측의 일방적인 군비 감축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노대통령은 그러나 "경직된 북한이 개방으로 나올경우 통일과정은
가속화 될 것 "이라고 말하고 "한반도의 분단상황이 이 세기안에 종식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노대통령은 "남북한통일에는 1천5백억달러의 통일비용이 들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으나 통일세의 신설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히고
"현단계에서는 통일의 비용을 따지기보다는 자유와 번영의 힘을 최대한
키워나가는 것이 절대적 과제"라고 말했다.
노대통령은 "중국과의 관계는 정치적인 분야까지 연장되고 있으며
한.중관계의 바람직한 진척을 예상할 수있다"며 한.중 조기수교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노대통령은 정기국회이후의 개각가능성에 대해 "이번 정기국회가
끝나면 13대 국회가 막을 내리기 때문에 14대 국회를 대비하는 가운데
필요한 개각은 고려될수 있다"고 연내 개각 가능성을 시사했다.
노대통령은 민자당 차기후보 선출시기와 절차에 대해서는 당헌규정을
강조하면서 "대통령의 의중을 궁굼하게 생각하지 말고 국민들의 의중을
살펴야 하며 나도 국민들의 의중을 살피고 있다"고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