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공단지 입주기업들의 평균 가동률이 7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기능공부족 및 자금난 등으로 인해 적지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현행 농공단지 개발시책을 전면 재검토, 새로운
단지의 개발을 확대하기 보다는 이미 개발된 농공단지의 확장을
허용하면서 입주기업들에 대한 각종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키로
했다.
10일 경제기획원에 따르면 중앙관계부처 및 지원부서,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중앙합동실태조사반이 지난 8월21일부터 31일까지 전국의 2백24개
농공단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인 결과 입주업체들의 평균 가동률은 68.1%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가동률은 지난 8월중 전국 제조업체의 평균 가동률인 79.6%에
비해 훨씬 낮은 것으로 농공단지 입주기업들이 인력난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반영 해주는 것이다.
특히 입주한지 3년이상인 기업은 가동률이 72% 수준이었으나
<>3년미만-1년이상은 70%, <>1년미만은 66%로 입주한지 얼마안된
업체일수록 가동률이 낮았다.
가동률이 저조한 원인으로는 `인력부족'' 때문이라는 응답이 55.9%로
가장 높고 다음이 자금난(17.7%), 판매부진(1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경영상 애로요인으로도 <>기능공확보난(49.5%) <>자금부족
(19.9%) <>인건비증가(12.7%) 등이 주로 꼽혀 농공단지의 인력난이
심각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또 입주업체중 공장을 건설중이거나 건설을 준비중인 업체를 제외한
1천3백78개 입주업체중 6.4%에 해당하는 88개업체가 인력난 및 경영악화
등으로 인해 휴.폐업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기업인들은 주로 <>세제.금융 등 정부보조를 기대하거나(33.5%)
<>공장규모의 확장(27.6%) 및 <>공장용지 구입난(22.6%) 등으로 인해
농공단지에 입주했으며 공장용지의 가격이 저렴한데다 세제 및 금융지원이
실시되는 점 등이 다른 공단에 비해 유리하지만 인력확보가 곤란하고
수송비가 많이 들며 기능인력의 자질이 미달되는 점 등을 불리한 점으로
꼽았다.
근로자들은 <>교통난, 주택난이 없고(33%) <>고향.친구.이웃이
있으며(17%) <>가사나 농업에 종사하면서 취업할수 있다는 점 등을 다른
공단에 비해 만족한 점으로 꼽았으나 <>근로조건이 열악하고 오락.
문화시설이 미비하며(42%) <>보수가 낮다 (31%)는 점 등을 불리하게
여기고 있다.
이들은 대정부 건의사항으로 복리후생시설의 설치(34.8%)를 가장
원했으며 그밖에 교통편의(18.9%), 작업환경 개선(12%), 도농간 임금격차
해소(11.3%) 등을 들었다.
농공단지가 지역사회에 기여한 정도에 대해서는 <>현금수입 등으로
가계에 보탬이 됐다(57%) <>주변의 지가상승으로 재산가치가
증식됐다(18%) <>기술습득으로 능 력발전의 계기가 됐다(13%)는 등의
응답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정부는 이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오는 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주관으로 농공단지개발에 관한 정책토론회를 개최, 현재 확장이
원칙적으로 금지된 기개발 농공 단지의 확장을 허용하고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의 경영.기술지도를 강화하며 부지조성비 및 공동폐수처리시설 지원 등
관계부처 예산을 통합 편성하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또 입주기업이 공장부지를 담보로 활용, 자체투자자금을 조달할수
있도록 `환매 조건부 특약등기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다.